한 컷 뉴스

'민주당 참좋은지방정부위원회 공동위원장 임명'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조직혁신단 총괄단장 임명' 

'이재명 후보 직속 균형발전위 공동선대위원장 임명' 

'민주당 대전환 선대위 시민정책제안특보단 단장 임명' 

'이재명 후보 직속 지역경제특보 임명' 

'민주당 대전환 선대위 전라북도 총괄특보단장 임명' 

더불어민주당 전북도지사와 전주시장 후보군에 오른 입지자들이 최근 언론을 통해 홍보한 자신들의 임명장 내용이 각양각색이다. 이 외에도 비슷한 임명장들이 많지만 무슨 역할을 하는지 명확하게 구분하기 모호하다는 지적들이 나온다. 

지방선거 염두에 둔 임명장 '남발', 홍보 경쟁 '과열' 

더불어민주당 ‘전북4050위원회’는 지난 8일 전북도당 대회의실에서 위원회 발대식과 임명장 수여식을 가졌다.
더불어민주당 ‘전북4050위원회’는 지난 8일 전북도당 대회의실에서 위원회 발대식과 임명장 수여식을 가졌다.

각 지역들도 마찬가지다. 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을 겨냥한 민주당 공천 입지자들이 자랑하는 임명장 중에는 처음 들어보는 것들이 많다. ‘민주당 대통령선거 유능한 자치분권 혁신위 공동위원장’, ‘이재명 선대위 조직부본부장’ 등을 내세워 자신의 위치를 과시하고 있다. 

자세히 보면 주로 당과 대선 후보 이름이 적힌 임명장이 대부분이다. 이처럼 더불어민주당이 대선 기여도를 6월 지방선거 공천에 반영한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지방선거 후보군들의 대선 관련 임명장 남발과 선대위 자리 경쟁이 치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대적인 복당 조치로 지역 정치권이 요동을 치고 있는 가운데 지방선거를 겨냥한 입지자들이 늘면서 치열한 줄서기 경쟁은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복당 신청자들이 늘면서 이러한 볼썽나사운 경쟁은 각 지역마다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현직 단체장들뿐만 아니라 도전하는 후보들 간에도 임명장을 놓고 경쟁이 치열하다.

선대위 감투 쟁탈...'복마전' 

전민일보 1월 20일 1면 기사(캡처)
전민일보 1월 20일 1면 기사(캡처)

마침 전민일보가 20일 ‘지선 입지자들, 선대위 감투 쟁탈전’이란 제목의 1면 기사에서 이 문제를 짚었다. “대선과 지방선거가 3개월 간격으로 치러지면서 선대위의 각종 임명장 남발과 이를 받기 위한 지방선거 입지자들의 보이지 않는 쟁탈전이 펼쳐지고 있다”는 기사는 “대선 선대위는 조직과 직능 세 불리기 수단으로, 지방선거 입지자들은 경력 쌓기 등 선거홍보용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기사는 또 “지방선거 출마 예정자들은 너도나도 이재명 대선 후보 선대위의 각종 직함을 확보하는데 열을 올리고 있다”면서 “대선과 지방선거가 맞물릴 수밖에 없다 보니 최대한 이재명 대선 후보와 연계성을 강조하기 위한 일종의 홍보 수단으로 지방선거 입지자들이 최근 지역 언론에 배포한 대선 선대위 임명과 관련해 남발되고 있는 직함은 대충 추려도 수십여 개에 이르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기사는 “단체장 후보군의 경우 거의대부분 선대위와 관련한 각종 직함을 복수로 임명된 상태”라며 “도내 지방선거 입지자들이 임명받은 직함은 △선대위 조직혁신단 단장 △국민특보단 더불어미래지부 공동단장 △전북 총괄특보단장 △민주당 시민정책제안특보단장 △민주당 균형발전위 공동위원장 △미래경제단장 △자치분권위원회 특보단 부단장 △전북4050위원회 공동본부장 △자치분권위 전주본부장 △농어민위원회 공동위원장 △선대위 정책본부 부본부장 △지역경제특보 △정치개혁특보 등 그야말로각종 직함과 임명장 홍수를 이루고 있다”고 꼬집었다. 

 직함·임명장 홍수...본인도 "헷갈려" 

이어 기사는 “입지자 본인도 헷갈릴 정도”라고 지적한 기사는 “다수의 직함과 임명장을 받은 사례도 많다”며 “같은 선거구의 입지자 중에서 같은 선대위 직함을 임명 받는 웃지 못 할 촌극도 연출되고 있다”고 전했다. 기사는 또한 “예전에는 대선 후보 또는 소속 정당의 대통령과 촬영한 사진을 선거용으로 홍보했으나, 공직선거법에 저촉되면서 이제는 선대위의 각종 직함 확보 쟁탈전이 전개되고 있다”며 변화하는 세태를 지적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대선 기여도'를 평가해 지방선거 공천에 반영한다는 지침을 발표한 바 있어 이런 촌극은 6월까지 지속될 전망이다. 

/박주현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