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컷 뉴스

2020년 5월 13일 전주시에서 열린 '해고 없는 도시 전주' 상생 협약식
2020년 5월 13일 전주시에서 열린 '해고 없는 도시 전주' 상생 협약식

‘해고 없는 도시’와 ‘착한 임대운동’ 등 지난해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다양한 일자리 정책을 펼쳐 관심을 끌었던 전주시가 허울 뿐이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문재인 대통령까지 전주를 코로나19 대응에 앞장서는 도시로 평가한 바 있다. 또한 “전주시의 코로나19 정책은 전국 모범사례”라며 민주당 최고위원회의 극찬을 받기도 했다. 그런데 2년여가 지난 지금, 그때와는 다르게 싸늘한 평가를 받고 있다. 왜 그럴까?

“7개 지원 혜택 중 6개 이미 사라져”

전주MBC 12월 21일 보도(화면 캡쳐)
전주MBC 12월 21일 보도(화면 캡쳐)

전주MBC는 21일 ‘지난해 코로나 1차 유행 당시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던 전주시의 '해고 없는 도시' 프로젝트, 지금도 잘 진행되고 있을까?’란 화두를 던지며 사업 내용을 진단하며 문제점들을 지적해 눈길을 끌었다.

기사는 “전주시내에서 총 1,573개 기업이 전주시가 추진한 상생 선언에 참여했다”며 “1년 8개월이 지난 지금 기업들은 만족할 만한 지원을 받고 있지 않다”고 전했다.

“크게 7개로 나눠지는 지원 혜택 가운데 6개가 예산 부족으로 이미 사라졌다”고 밝힌 기사는 “남은 건 은행대출 이자지원 한 가지 뿐인데 이조차도 내년부터는 더 이상 누릴 수 없는 혜택이 될 전망”이라고 강조했다. “대부분 업체들이 이자 지원 기한을 2년으로 약정했는데, 벌써 종료 시점이 다가왔기 때문”이라고 기사를 덧붙였다.

선언적 의미로 '해고 없는 도시' 시작, 결과는 ‘실망’

전주MBC 12월 21일 보도(화면 캡쳐)
전주MBC 12월 21일 보도(화면 캡쳐)

전주시 관계자는 이날 방송과 인터뷰에서 “선언적 의미로 '해고 없는 도시'를 시작했다”면서 “국가에서도 많은 정책이 나오다보니 그런 부분이 (사업을 축소하는데) 좀 고려되지 않았나 싶다”고 해명했다. 이와 함께 이날 방송은 “전주에서 시작돼 전국으로 퍼져나간 '착한 임대료, 착한 집세' 운동도 이미 시들해졌다”고 보도했다. 

그 이유로 기사는 “코로나와 임대차법 등으로 인해 건물주까지 운신의 폭이 좁아졌기 때문”이라며 “올초 실시된 선결제 운동은 애매한 환급률 기준 때문에 소상공인과 소비자 모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했다”고 아쉬워했다.

이처럼 언론에 대대적인 홍보를 펼치며 상당한 기대감을 갖게 했던 전주시의 코로나 극복 시책들이 불과 2년도 안 돼 무용지물이 되어가는 모습에 많은 시민들이 아쉬움과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전주시뿐만 아니라 시정을 지나치게 포장해 애드벌룬을 한껏 띄웠던 지역언론을 바라보는 시선도 싸늘하기는 마찬가지다.  

/박주현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