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승종의 '역사칼럼'

조광조는 억울하게 세상을 떠났으나, 수기치인에 관한 선비들의 논의는 후퇴하지 않았다. 세상에는 이미 뜻있는 선비들이 많아졌다. 특히 16세기 후반에는 조광조의 학맥을 계승한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등장하여 괄목할 만한 업적을 달성했다.

이이는 수기치인(修己治人)에 관한 학문적 해명을 완성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그의 『성학집요(聖學輯要)』는 하나의 기념탑이었다. 이이는 젊은 왕 선조(재위 1567~1608)에게 큰 기대를 걸었다. 그는 선조를 성의껏 보필하기 위해 2년 동안 성리학의 여러 경전에서 꼭 필요한 대목을 발췌했다. 거기에다 자신의 견해를 덧붙여 한 질의 책자를 완성했다.

1575년(선조 7)의 일이었다. 이렇게 완성된 『성학집요』는 『대학』을 뛰어넘은 제왕학 교재였다. 수기란 무엇인가. 이이는 뜻을 세우는 방법부터 차근차근 설명했다. 이어서 세상의 이치를 배우는 방법, 성실한 마음을 지키는 방법. 거기서 한 걸음 나아가 마음을 넓히고 좋은 벗을 사귀며 자신의 단점을 극복하는 법을, 이이는 명확하게 설명했다. 

다음 단계는 정가이다. 부모에게 효도하고, 아내와 남편이 주관하는 일을 구별하는 것. 자식을 가르치고 친족을 대접하는 법도 일일이 서술했다. 수신의 내공이 가정생활에서 어떻게 실천되어야 할지를 검토한 것이다. 『성학집요』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일까.

입지(立志)를 중시한다는 점이다. 이이는 『격몽요결(擊蒙要訣)』, 곧 공부를 처음 시작한 청소년들을 위해 쓴 책에서도 입지를 강조했다. 일찍이 송나라의 주희는 성의정심이란 용어를 통해, 입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조선에서는 조광조, 조원기 등이 그 전통을 이어받았다. 이이는 그것을 한층 더 강화한 것이다. 이이의 설명을 들어본다.

“배움에는 뜻을 세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뜻이 바로 서지 않고서도 공부를 이룬 사람은 없었다. 그러므로 ‘몸을 닦는(修己)’ 조목에서는 ‘뜻을 세우는 일’이 가장 우선이다.”(...)

<위정(爲政)>편은 두 가지가 핵심이다. 하나는 이상정치론이요, 다른 하나는 현실정치론이었다. 전자의 중점은 덕치(德治)에 있다. 백성에 대한 배려와 사랑을 말한 것이다. 흥미롭게도, 이이는 군신공치(君臣共治)에 방점을 찍었다.

“신하의 옳은 말이 정책에 구현되도록 한다. 임금은 자기 뜻을 버리고 신하들의 공론을 따라야 한다.”

그러면서 이이는, 순(舜)임금이 정치적으로 성공을 거둔 것도 신하들의 의견을 존중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이는 황제 중심의 역대 중국 사회와는 멀찍이 거리를 두었다. 그의 사상은 공치를 강조한 정도전의 사상에 맞닿아 있었다.

윗사람(임금)이 자기의 뜻을 버리고 아랫사람들(신하)의 공론을 따라야한다고 했다. 조선의 선비들의 정치관을 이보다 더 잘 요약하기는 어렵다. 서양의 기사들에게서는 도저히 발견할 수 없는 특색이었다. 그들은 주군(영주, 왕, 교회)의 명령에 절대복종하는 존재였다.

우리와 마찬가지로 유교문화권에 속한다고 하지만 일본의 사무라이들도 주군에 대한 복종의 의무를 가졌다. 심지어는 유교문화의 본고장으로 불리는 중국사회에서도 신하는 황제의 절대 권력에 대항하기가 불가능했다.

그러나 조선사회에서는 달랐다. 조선에서는 누구도 군신공치의 이념을 정면으로 비판하지 못했다. 현실정치의 난관을 뚫기 위해서 이이는 여러 가지 대책을 강구했다. 그는 소박한 이상주의자가 아니었다.

정도전을 계승한 당대 최고의 경세가였다. 어떻게 하면 백성이 마음 편히 생업에 종사할 수 있을까를 고민한 끝에, 이이는 세금도 적게, 부역도 가볍게 하라고 주장했다. 형벌을 삼가고, 나라의 쓰임새를 줄이고, 재물의 생산을 늘려 민생이 넉넉해지게 하자고 했다. 그런 점에서, 이이는 국가의 기강을 세우는 일이 급선무라고 보았다.

“정치를 행하는 일은 기강을 세우는 것을 첫째로 삼습니다. 기강은 국가의 원기(元氣)입니다. 기강이 서지 않으면 만사가 무너지고, 원기가 튼튼하지 않으면 온몸이 해이해집니다.”

또 이렇게도 주장했다. 기강이 무너졌는데, “혹시라도 사변이 생길 경우에는 마치 오래된 흙담이 무너지듯 다 허물어지고 맙니다. 다시는 구제할 방법을 찾을 수가 없을 것입니다.”

선조는 이이의 고언(苦言)을 따르지 않았다. 그 결과는 어땠는가. 조선왕조는 임진왜란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오랫동안 질서를 회복하지 못했다. 자질구레한 이유를 들어서 선조와 그 측근은 개혁을 망설였다.

우유부단한 조정의 형세를 지켜보며, 이이의 심경은 더욱 난감해졌다. 그러나 포기하지 않고, 그들에게 용기를 불어넣고자 했다. 그래서 그는 이런 조언도 했다.

“성왕의 정치는 책에 모두 진술되어 있습니다. 마치 규구(規矩: 컴퍼스 및 자)가 손에 있어 모난 물건과 둥근 물건을 그릴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처음에는 손에 익지 않을지언정 점차 익숙해질 것입니다. 어찌 왕도정치를 시행할 수 없다고 걱정하겠습니까?”

수기치인의 길을 밝힌 조선시대의 책으로는, 이이의 『성학집요』를 뛰어넘는 책이 다시는 없었다. 하지만 그런 책이 있으면 무엇하겠는가? 사람이 없어서 왕도정치는 끝내 구현되지 못했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었다.(출처: 백승종, <신사와 선비>(사우, 2018))

[사족] 

세상을 바꾸기는 쉽지 않습니다. 사상적 견인차도 있어야 하고, 세상을 수술할 단호한 집도의도 필요합니다. 여러가지 난관을 뚫고 나갈 리더십도 있어야 하는 법이지요. 

이런 사람 저런 사람이 높은 공직을 그만두기만 하면 야당을 기웃거리며 심지어 대권까지 노리는 지금의 상황은 어떠합니까. 율곡 이이의 진단에 따르면, 나라의 기강이 무너진 까닭입니다. 민주주의를 한다면서 나라의 기강이 무너지게 해서는 안됩니다. 

/백승종(역사학자, 전 서강대 사학과 교수, 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겸임교수)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