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장애인 시설 ‘무주하은의집’ 민관합동조사 요구 휠체어 시위
지적장애인 거주 시설인 ‘무주하은의집’에 대한 민관합동조사 촉구를 위해 장애인들이 전동 휠체어를 타고 전주에서 무주까지 행진에 나서 주목을 끌고 있다.
‘무주하은의집전국대책위’는 24일 전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 및 결의대회를 열고 "무주하은의집에서 발생한 장애인 학대 의혹 사건이 발생한 지 1년이 다 돼가고 있다“며 ”하지만 아직도 조사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는 만큼 전북도는 당장 민관합동조사를 시행할 것“을 촉구하며 휠체어 행진 집회를 선언했다.
대책위는 "이날부터 2박 3일간 전북도청에서부터 진안군을 경유해 무주군청 앞까지 행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대책위는 “민관합동조사를 쟁취해내기 위해 시설폐쇄까지 걸고 투쟁하겠다”고 각오를 밝히면서 “무주하은의집 직원 중 7명이나 기소될 정도여서 이미 폐쇄의 명분은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민관합동조사 요구 10개월 째...전북도 미온적 태도에 비난 고조
대책위는 또한 “지난해 7월 처음 언론에 보도된 이후 전북도청 앞 1인 시위와 전국 결의대회, 천막 농성 등을 통해 투쟁을 계속해왔다”며 “그런데도 전북도와 무주군이 아직도 조사를 진행하지 않는다는 것은 장애인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이날 전북도청에서 출발한 행진은 25일 진안군을 거쳐 무주군청까지 이어진다. 행진을 마친 26일에는 오후 2시부터 무주군청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 예정이다.

'무주하은의집' 문제는 지난해 7월 28일 전주MBC 방송을 통해 사회복지사가 장애인을 상습적으로 폭행한 사실이 보도되면서 알려졌다. 이후 시민단체는 대책위를 꾸리고 민관으로 구성된 조사팀이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학대 여부 등을 전수조사해야 한다고 전북도에 요구해 왔다.
특히 장애인 인권 단체들은 장애인권익옹호기관을 믿기 어렵다면서 민관합동조사를 요구해왔지만 전북도의 미온적인 태도로 인해 내내 갈등이 이어져왔다.
더구나 전북도가 합의한 원칙을 어기고 조사팀에 공무원을 참여시키거나 조사 시 녹음을 금지하는 등을 제안해 현재까지 조사가 표류하고 있다고 단체는 주장하고 있다.
이날 단체 관계자는 "아직도 민관합동 조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는 것은 전북도가 그만큼 장애인을 무시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밖에 없다"며 "무주하은의집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인 20∼30명과 시설 전반에 대해 심층 조사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박경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