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전북대가 김동원 총장 체제 이후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선정·지원하는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에서 2년 연속 탈락해 거점 국립대학으로서 위상과 경쟁력의 추락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우수 학생 유치와 지역의 인재 육성 등을 주창해 온 전북대가 전국의 거점 국립대학들과 달리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에서 잇따라 탈락해 치열한 학생 유치 경쟁시대에 관심과 의지가 빈약한 게 아니냐는 의구심이 일고 있다.
교육부는 10일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중간 평가 결과를 발표하고, 73개 대학을 계속 지원대학으로 확정했다.
전북대, 2년 연속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탈락...왜?
전북지역에서는 군산대와 전주대가 선정됐을 뿐, 전북대와 원광대,우석대 등이 줄줄이 탈락했다.
특히 전북대는 지난 2008년 입학사정관제 실시 이후 교육부와 대교협이 주관한 입학사정관제 운영 지원사업, 입학사정관 역량강화 지원사업 등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에 12년 선정됐으나 최근 2년 연속 탈락해 충격을 주고 있다.
이에 반해 전주대는 14년 연속 지원사업에 이름을 올렸다. 전주대는 대입전형 표준화, 논술‧대학고사 미실시에 따른 사교육 부담 완화, 학생부교과 지역인재전형 신설에 따른 고등교육 참여 기회 확대 등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대학 내 부정‧비리사항이 없는 점도 사업 선정에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군산대도 6년 연속 계속지원대학에 선정, 대입전형 공정‧투명성 확보 대학으로 인정받게 됐다.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은 입시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대학에 지원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사업에 선정되면 2년간 학교당 10억원 안팎의 지원이 이뤄지고, 1년 후 중간평가에서 기준이 미달 될 경우 지원 중단된다.
전국 거점국립대 중 유일하게 탈락...배경 의구심
평가는 대입전형 과정이 공정‧투명한지, 입시정보 제공 등 대입정보 공개 확대에 노력하는지, 사회적 배려 대상자‧지역균형발전 관련 전형을 운영하는지 등이 중점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전북대의 탈락 배경에 의구심이 쌓이고 있다.
더구나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은 대입전형 과정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이고 합리적으로 대입전형을 운영해 교육과정에 충실한 고교교육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는 점, 사업비는 입학사정관 등 인건비와 대입전형 운영비, 전형결과 분석 연구비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전국 대부분 대학들이 적극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올해 이러한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 대학들로는 계속 지원대학의 유형Ⅰ( 수도권)의 경우 총 28개교에 해당한다. 여기에는 가톨릭대, 강남대, 건국대, 경기대, 경인교대, 경희대, 광운대, 국민대, 단국대, 대진대, 동국대, 명지대, 상명대, 서강대, 서울과기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숭실대, 아주대, 이화여대, 인천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가 포함됐다.
비수도권은 총 37개교로 강릉원주대, 강원대, 건국대(글로컬), 경북대, 경상대, 계명대, 공주대, 광주교대, 군산대, 대구교대, 대구대, 대구한의대, 동아대, 동의대, 부경대, 부산가톨릭대, 부산교대, 부산대, 선문대, 순천향대, 안동대, 영남대, 전남대, 전주대, 제주대, 조선대, 진주교대, 청주교대, 충남대, 충북대, 한국교원대, 한국교통대, 한남대, 한동대, 한림대, 한밭대, 호서대가 포함됐다.
유형Ⅱ로는 수도권의 덕성여대, 차의과대, 한양대(ERICA)며, 비수도권의 가톨릭관동대, 대구가톨릭대, 목포대, 창원대, 동국대(경주)이 선정됐다.
교육부는 지원중단 대학과 신규 신청 대학을 대상으로 6월 중 실시할 예정이지만 지역거점 국립대 중 전북대가 유일하게 2년 연속 1차에서 탈락해 아쉬움이 크다.
/박경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