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승종의 '역사칼럼'
조선 후기 실학자로 성호 이익이란 선비가 있었다. 그의 책 <<성호사설>>(제5권)에 <용화(龍華)>라는 짤막한 글이 있다. 그 글에 나오는 용화는 불경과는 거리가 멀었다.
불경에서는 미륵이 천상의 도솔천에 머물면서 중생에게 설법을 하고 있다고 한다. 장차 먼 미래에는 미륵이 인간 세상에 내려와, 용화수 아래서 세 차례 설법을 베풀 것이라 한다. 그러면 억만 대중이 윤회의 사슬에서 풀린다고 한다. 그런데 이익이 쓴 글에는 이와는 전혀 다른 민중의 판타지가 <용화>에 담겨 있다.
이야기를 간추려본다. 실학자 이익은 경기도 안산의 들판에 살고 있어 샘을 파지 못했다. 그곳 사람들은 장마철 빗물을 웅덩이에 가두고 “용화(龍華)”라고 불렀다. 그 웅덩이에는 기러기와 거위 등이 모여 노았다. 새 똥과 오줌이 물위에 둥둥 떠있어 보기만 해도 구역질이 났다.
그러나 그 물로 밥도 짓고 술도 빚었다. 때 묻은 옷을 세탁했다. 맛도 그만이요, 수종다리 병 따위의 풍토병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었다.
겉보기와 달리 안산의 “용화”는 민중의 생명수였던 것이다. 미륵님은 풍토병에서 몸과 마음을 구제하는 민중의 은인이었다. 이익이 자신의 글에 그렇게 쓰지는 않았으나, 행간의 뜻으로 보면 더 이상 명백할 수가 없지 않은가.
이 짤막한 글에서 나는 미륵신앙의 역사를 쓰려고 한다. 아마 조금 색다른 이야기가 될 것이다. 내가 보기에 민중의 마음은 시대의 물결에 따라 미륵신앙을 안고 이리저리 움직이며 살았다. 그 발자취를 따라기노라면 민중이 남몰래 쓴 거룩한 판타지가 보인다.
이 글을 쓰는 동안에 나는 항상 한 가지 생각을 붙들고 있었다. 미륵신앙은 한국의 역사속에서 어떤 방향으로 전개되었을까, 하는 호기심이었던 셈이다. 시대마다 민중의 미륵신앙은 색다른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는데, 나는 그 점을 놓치지 않으려고 애썼다. 지면에는 제약이 있기마련이라, 주석도 붙이지 못하고 그저 몇 가지 이야기를 꺼내는 정도에 그쳤다. 어진 독자의 혜량을 빈다.
이야기를 꺼내기 전에 우선 말해둘 것이 있다. 한국에서는 시대를 막론하고 미륵의 인기가 항상 높았다는 점이다. 현재 전국 각지에 남아 있는 미륵상은 400기쯤이란다. 그밖에도 자연석에 조금만 인공이 가해져도 마을 사람들은 그것을 미륵이라고 부른다.
미륵님은 마을 앞에도 있고, 논밭이나 호젓한 산기슭에도 있다. 민중의 사랑을 받아온 존재라는 점을 구구히 설명할 필요가 없다. 섬이든 육지든, 산간이든 평야든, 아니면 해변 마을이든 미륵신앙은 어디나 현재진행형이다.
※출처: 백승종, <판타지의 거룩한 계승>(<<불광>>, 2021년 5월호)
/백승종(역사학자, 전 서강대 사학과 교수, 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겸임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