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일의 '길 위에서'

도둑을 업으로 하는 아버지와 아들이 있었다. 아버지는 아들 도둑에게 그가 가진 재주를 다 가르쳐 주었고, 아들은 스스로의 재능을 아버지보다 더 낮다고 생각하였다.
어느 날 아들 도둑이 아버지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내가 아버지의 솜씨에 비해 도둑질하는 것이 조금도 손색이 없고 힘도 훨씬 좋으니 이대로 나간다면 정말로 큰 도둑이 되지 않겠습니까?”
이 말을 들은 아버지 도둑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아직 멀었다. 지혜란 배워서 이르는 데는 한계가 있는 법이어서 스스로 터득함이 있어야 되는 것이다. 그러니 너는 아직 멀었다.”
이 말을 들은 아들 도둑은 “도둑이란 재물을 많이 얻는 것이 제일인데, 나는 아버지보다 소득도 배나 되고 나이도 아직 젊으니 아버지의 나이가 되면 틀림없이 아주 특별한 재주를 가지게 될 것 같습니다.
그 뒤 아버지가 아들을 데리고 도둑질을 하러 갔다가 아들을 보물 창고로 들어가게 하고는 아들이 보물을 챙기느라 정신이 없을 때 문을 잠그고 나오면서 자물통을 흔들어 주인이 듣도록 하였다.
주인이 창고 있는 곳으로 급히 와보니 창고의 자물쇠는 굳게 잠긴 채였다.
그것을 본 주인이 다시 방으로 돌아가자 아들 도둑은 손톱으로 박박 쥐가 긁는 흉내를 냈다. 주인이 쥐가 그러는 줄 알고 쥐를 쫓기 위해 자물쇠를 열자 쏜살같이 달아났다. 사람들이 쫓아오자 아들도둑은 연못가에 돌을 던졌다. 사람들은 도둑이 연못으로 숨은 줄 알고 연못가에 빙 둘러 있는 사이 구사일생으로 도망쳐 나왔다. 아들 도둑이 집으로 돌아와 아버지 도둑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새나 짐승도 자기 새끼를 보호할 줄 아는데, 제가 무슨 큰 잘못을 저질렀다고 이렇게 욕을 보입니까?” 이 말을 들은 아버지 도둑은 아들 도둑에게 이렇게 답했다.
“사람의 기슬이란 남에게서 배운 것은 한계가 있게 마련이지만, 스스로 터득한 것은 그 응용이 무궁한 법이다. 더구나 곤궁하고 어려운 일은 사람의 심지를 굳게 하고 솜씨를 원숙하게 하는 법이다.
내가 너를 궁지로 내 몬 것은 너를 안전하게 하자는 것이고, 내가 너를 위험에 빠뜨린 것은 너를 건져주기 위한 것이다. 네가 창고에 갇히고 다급하게 쫓기는 일을 당하지 아니하였던들 어떻게 쥐가 긁는 시늉과 돌을 던지는 기발한 꾀를 냈겠느냐.
너는 곤경을 겪으면서 지혜가 성숙해졌고 다급한 일을 당하면서 기발한 꾀를 냈다. 이제 지혜의 샘이 한 번 트였으니 다시는 실수하지 않을 것이다. 너는 천하에 독보적인 존재가 될 것이다.“

그 후에 그는 과연 천하에 둘도 없는 큰 도둑이 되었다. 강희맹이 지은 <자득(自得)의 묘(妙)>에 나오는 글이다. 공부나 세상을 살아가는 것도 마찬가지다. 스스로 터득해서 배운 공부나 자력갱생으로 이룬 성공은 자신도 있고 떳떳하다.
하지만, 남에게 억지로 배운 공부나 물려받은 재산은 하룻밤만 지나면 금세 날아가 버려 한 줄도 남아 있지 않고 금세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이 있다. 어려운 일을 겪으면서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를 얻게 되는데, 스스로도 자기 피붙이도 그런 고통을 겪지 않고 배우게 하려고 안간힘을 다 쏟고 있다.
그러다가 보니 세상이 난장판이다. 도둑에게도 도둑의 도道가 있다는데, 도는커녕 자기가 도둑이라는 것도 모르고 도둑질을 하고 있다. 어떻게 해야 하는가?
/신정일(길 위의 인문학 우리 땅 걷기 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