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에세이

주여, 때가 왔습니다

지난 여름은 참으로 위대했습니다

당신의 그림자를 해시계 위에 얹으시고

들녘엔 바람을 풀어 놓아 주소서

남은 과일들이 무르익도록 하여 주소서

이틀만 더 햇빛을 베푸시어

과일들이 제맛을 찾게 해주시고

독한 포도주는 끝단맛이 스미게 하소서

이제 곧 겨울이 스며듭니다

지금 집이 없는 사람은

더이상 집을 짓지 않습니다

지금 혼자인 사람은

그렇게 오래 남아 깨어서

책을 읽고

긴 편지를 쓰며

낙엽이 흩날리는 날에는 가로수들 사이로

이리저리 불안스레 헤매일 것입니다 <'가을날' 라이너 마리아 릴케>

빨갛고 노랗게 코스모스가 곱게 옷을 갈아입고 가을을 노래하는 계절입니다. 선선한 가을 바람이 불고 붉은 단풍잎이 떨어지면 생각나는 시가 많지만 라이너 마리아 릴케(Rainer Maria Rilke, 1875~1926)의 시는 언제나 묵직한 울림을 주는 것 같아서 신성한 느낌마저 듭니다.

학창시절, 릴케의 '가을날' 이란 시를 좋아했던 기억이 떠오르는 이 가을. 이제 머지않아 가을비 내리고 바람이 불면 곧 추워지고 눈도 오겠지요? 계절이 겨울을 준비하는 동안 가을의 낭만을 마음껏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프렌치 코트의 깃을 세우고 가을색 닮은 스카프를 바람에 휘날리며 바쁜 일상을 잠시 미뤄 두시고 학창시절의 추억을 떠올리며 릴케의 '가을날' 이란 시를 한 수 음미해보면 어떨까요?

가지 마세요

가지 마세요

사랑이라는 슬픔에

기댈 수 없어요

가지 마세요

몸은 가도 마음은 가지 마세요

그대 보내는 내 마음은

그대는 몰라요

이 눈물이 산처럼 쌓여 별이 되어도

그대 사랑하는 맘 변할 수 없어요

가지 마셔요

가지 마셔요

사랑이라는 외로움에

기댈 수 없어요

가지 마셔요

몸은 가도 마음은 가지 마셔요

그댈 위해 온전히

그대가 되어

그리움처럼 꽃처럼 살아갈께요 <'상사화' 이삭빛>

언제나 한결같은, 언제나 변함없는, 언제나 초심 같은, 언제나 선물 같은 가을의 꽃, 상사화 꽃. 수선화과에 속하는 상사화는 개가재무룻이라고도 부릅니다. 꽃이 필 때는 잎이 없고, 잎이 달려 있을 때에는 꽃이 없어 꽃과 잎이 서로 그리워 한다는 의미로 상사화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진 꽃 이름부터가 슬픕니다.

상사화란 꽃이 필 때는 잎이 없고 잎이 있을 때는 꽃이 피지 않으므로 꽃은 잎을 생각하고 잎은 꽃을 생각한다는 뜻입니다. 잎과 꽃이 만날 수 없으니 서로 생각만 한다는 꽃 상사화(想思花).

잎이 완전히 없어진 뒤 꽃이 나오니 이런 이름이 붙었겠지만 사실 야생화 중에는 꽃과 잎이 서로 보지 못하는 것들이 많습니다. 산수유, 깽깽이풀, 노루귀 등 이른 봄에 피는 많은 야생화들이 꽃이 지고 나서 잎이 본격적으로 나옵니다. 

비록 코로나19가 비대면 세상을 가져다 주었지만, 가을에 꽃이 화려하게 피어나는 상사화를 보면서 사랑하는 사람을 잠시 그리워해 보는 것은 어떨지요? 

/글·사진=김미선 시민기자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