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왕조의 본향’ 전주에서 왕의 초상화를 모시는 전통 의례가 재현됐다. 18일 오후 2시 전주시청을 출발해 팔달로를 거쳐 경기전까지 진행된 ‘2025 조선왕조 태조어진 봉안의례 재현 행사’가 열렸다.
태조 이성계의 어진은 단순한 초상화가 아니라 왕 자체를 상징하는 존재로 제작과 봉안은 조선시대 최대의 왕실 의례로, 어진은 총 26점이 제작됐으나 현재 전주 경기전 어진박물관에 보관된 어진이 유일본이며 2012년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 지정됐다.

봉안의례는 1688년(숙종 14년) 태조어진이 한양(서울)에서 전주 경기전으로 봉안된 역사를 재현한 것으로, 진발의식·봉안행렬·정전봉안·봉안고유제 등의 순서로 매년 진행되고 있다.
이날 행사는 오후 2시 전주시청 앞 노송광장 주정소(왕이 행차 중에 멈춰 쉬는 곳)에서 행렬의 출발을 알리는 진발의식으로 시작으로 충경로사거리와 풍남문사거리에서 기념촬영 시간을 제공하고 ‘전북전주 올림픽·패럴림픽 유치 희망 퍼포먼스’도 함께 열렸다. 이어 봉안 장소인 경기전 정전에서 어진을 모시는 과정과 함께 봉안을 잘 마쳤음을 알리는 고유제로 마무리됐다.
특히 올해는 어린이·청소년·문화예술 동호인 등 200여명이 시민 행렬단으로 참여해 전통의례에 활력을 더했다. 청소년 100인의 태권도 단체 품새와 효림초등학교 기접놀이 공연 등 다채로운 퍼포먼스도 펼쳐져 시민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박경민 기자
박경민 기자
kyungmin256@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