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중항쟁기념 전북행사위원회, 보도자료 통해 '강력 반대' 입장 밝혀

제45주년 5·18민중항쟁기념 전북행사위원회(5·18전북위원회)가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의 전북대 이세종 열사비 참배를 강력 반대하고 나섰다.
5·18전북위원회는 16일 입장문(보도자료)을 통해 이 같이 밝힌 뒤 "김 후보가 5·18 정신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존중하는 자세와 12·3 내란세력과 단호히 결별하고 단죄에 대한 입장부터 갖출 것"을 촉구했다.
이세종 열사는 전북대 농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이던 1980년 5월 18일 새벽 1시, 제1학생회관에서 농성을 벌이다 진입한 7공수 부대원들에게 쫓겨 옥상으로 올라간 뒤 추락해 싸늘한 주검으로 발견됐다. 불의에 맞서 싸우다 숨을 거둔 그는 5·18 민주화운동의 최초 희생자로 기록되며, 이후 전국적 항쟁의 도화선이 된 상징적 인물로 역사에 남았다.
이에 5·18전북위원회는 "이세종 열사의 죽음은 민주주의를 향한 국민의 열망과 저항의 상징이며, 오늘날까지도 민주주의를 지키고자 하는 5월 정신은 살아 숨 쉬고 있다"면서 "그러나 김문수 후보가 이세종 열사비를 참배하려는 행보는 그 정신을 모독하는 행위"라고 규탄했다.
또한 5·18전북위원회는 "김 후보는 계엄군 지휘 책임자였던 정호용 전 국방부 장관을 선거대책본부 상임고문으로 임명했다가 철회한 바 있으며,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발동에 대해 사과했지만 헌법재판소의 파면 판결을 부정하는 발언을 해 비판을 받았다"고 밝힌 뒤 "12·3 내란수괴 윤석열, 그리고 잔당세력과 결별하지 않고 윤석열의 탈당에 대해 당사자의 판단이라는 망언을 일삼고 있다"며 "이런 후보가 이세종 열사비를 참배한다는 것은 이 열사의 정신은 물론 내란세력에 맞서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123일 동안 '윤석열 파면 투쟁'에 앞장섰던 전북도민에 대한 모독"이라고 비판했다.
따라서 5·18전북위원회는 "김 후보가 진정으로 5·18 정신을 기리고자 한다면, 과거의 행보와 발언에 대해 진심 어린 사과와 반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라며 "우리는 김문수 후보의 이세종 열사비 참배를 강력히 반대하며, 그가 5·18 정신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존중하는 자세, 12·3 내란세력과 단호히 결별하고 단죄에 대한 입장을 갖출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민의힘 전북도당에 따르면 김 후보는 17일 전북지역을 방문해 오후 1시 10분 전주한옥마을 내 경기전에서 '전북 맞춤형 공약을 발표하고 이후에는 전북대학교로 이동, 5·18 최초 희생자인 이세종 열사 추모식에 참석한 뒤 구정문에서 집중유세를 벌일 예정이다.
/박주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