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초점

26일 광주시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 민주당 호남권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는 유효투표 20만 809명 중 17만 8,090표, 득표율 88.69%로 1위를 차지했다.(사진=독자 제공) 
26일 광주시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 민주당 호남권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는 유효투표 20만 809명 중 17만 8,090표, 득표율 88.69%로 1위를 차지했다.(사진=독자 제공) 

더불어민주당의 '심장'이자 '텃밭'인 호남권 표심은 이재명 후보를 선택했다. 이 후보는 호남지역 대선 경선에서 압승하며 ‘대세론’을 굳혔다. 

26일 광주시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 민주당 호남권(광주·전남·전북) 경선에서 이 후보는 유효투표 20만 809명 중 17만 8,090표, 득표율 88.69%로 1위에 올랐다. 이어 김동연 후보는 득표율 7.41%(1만 4,889표)로 2위를, 김경수 후보는 득표율 3.9%(7,830표)로 3위를 각각 기록했다.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경선 호남권 투표결과(더불어민주당 제공)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경선 호남권 투표결과(더불어민주당 제공)

지금까지 권리당원과 전국 대의원 누적 득표율은 이재명 후보가 89.04%로 1위, 김동연 후보와 김경수 후보가 각각 6.54%, 4.42%로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이재명 후보 득표율은 앞선 충청권 88.15%에 비해 다소 높았고, 영남권 90.81%에 비해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이 후보에게 과제를 부여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 후보가 호남 경선에서 압도적 승리를 거뒀지만, 투표율이 53.67%대로 영남·충청권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호남에서 항상 민주당에 압도적으로 지지를 보내왔지만, 그에 걸맞은 혜택을 받지 못했다는 지역민들의 불만이 이번 순회경선에서 투표율로 투영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실제로 권리당원과 전국 대의원을 합산한 총투표율은 53.67%로 충청권(57.87%)과 영남권(70.88%)에 비해 가장 낮았다. 권리당원의 경우 선거인단 37만 1,105명 중 유효 투표자 19만 8,885명으로 투표율 53.59%, 전국 대의원의 경우 선거인단 3,036명 중 유효 투표자 1,924명으로 투표율은 63.37%였다.

민주당 호남권 권리당원 투표는 온라인과 ARS 방식으로 진행됐고, 전국 대의원 온라인 투표는 합동연설회 당일인 이날 진행됐다. 권리당원은 23일과 26일 온라인 투표를, 24~25일 자동응답방식(ARS) 투표를 했다.

그러나 민주당 핵심 텃밭인 호남 경선에서도 이 후보가 압도적으로 승리하면서 호남 민심도 정권 교체에 방점을 찍었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권리당원의 절반이 넘게 투표를 마친 상황에서 이 후보가 90%대를 유지한다면 27일 남은 수도권 순회 경선에서 남은 두 후보가 뒤집기는 사실상 힘들기 때문이다.

민주당 대선 주자들 “호남 경제 부흥” 약속…이재명 “전북 재생에너지 중심지로 거듭날 것” 

26일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들은 합동연설에서 '지역 경제'와 '민주주의'를 주된 키워드로 약속들을 내놓았다.(사진=독자 제공) 
26일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들은 합동연설에서 '지역 경제'와 '민주주의'를 주된 키워드로 약속들을 내놓았다.(사진=독자 제공) 

한편 경선 투표에 앞서 이날 각 후보들은 합동연설에서 '지역 경제'와 '민주주의'를 주된 키워드로 약속들을 내놓았다. 합동연설은 김경수·이재명·김동연 후보 순으로 진행됐다.

첫번째 연설에 나선 김경수 후보는 “지난 수십 년간 민주당에 대한 호남의 지지는 변함이 없었지만 지역 발전에 대한 약속은 아직도 기약이 없다”면서 “호남권 메가시티 등 전국 5권역 메가시티 자치정부를 조성해 호남이 국가 발전까지 이끌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두번째 연설자로 나선 이재명 후보는 “굴곡진 역사의 고비마다 대한민국이 나아갈 진정한 민주공화국의 길을 제시해 준 것도 호남이고, 호남이 김대중·노무현을 키웠기에 평화적 정권교체와 IMF 국난 극복이 가능했다“며 “빛고을 광주는 인공지능 경쟁을 주도할 AI 중심 도시로, 전남·전북은 사통팔달 에너지 고속도로를 통해 재생에너지 생산지와 RE100 산단이 어우러진 재생에너지 중심지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 연설자로 나선 김동연 후보는 “1998년 외환위기, 2008년 금융위기, 2017년 탄핵 후 찾아온 경제위기 등 매번 위기의 한복판에서 해법을 찾았다”면서 “전남·북, 광주를 잇는 서해안 신재생 에너지 밸트, AI·미래 모빌리티 대기업 도시 광주, 대한민국 에코수도로 발전하는 전북, 이차전지, 첨단소재 클러스터 전남을 만들어 경제 위기를 극복하겠다”고 약속했다.

민주당은 27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수도권·강원·제주 경선을 마지막으로 갖고 민주당 대통령 선거 최종 후보를 선출하게 된다. 민주당 대선 경선은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투표 50%를 반영하며, 권역별 경선투표 결과와 일반 국민투표 결과를 합산해 최종 본선 후보가 결정될 전망이다. 

/박주현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