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주화 칼럼

손주화 전북민언련 사무처장

오늘 받아 본 <부안독립신문>의 1면 지면 하단이 '백지광고'로 편집됐다. 지역에서 매우 보기 드문 상황이어서 당황스러웠다. 그동안 우려는 했었지만 결국 이렇게 되다니... 송전탑 문제, 변산콘도개발사업 특혜 논란 등 굵직하고 민감한 지여 현안을 적극적으로 보도했던 풀뿌리 지역신문에 '공공성 훼손'이라는 납득하기 어려운 홍보비 집행 기준을 거론하며 광고비를 집행하지 않기로 한 때문이란다.

거두절미하고 비판 언론에 광고비 삭감으로 대응한 부안군정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부안독립신문>은 광고 대신 다음과 같은 내용을 지면에 밝혀 더욱 눈길을 끌었다.

"부안군은 <부안독립신문>이 공공성을 훼손한다는 이유로 광고를 끊었습니다. 이에 독자와 군민들께 한 줄 광고를 받아 빈 광고란을 채우고자 합니다. 광고비는 자유입니다. 한 줄의 글을 기다리겠습니다."

그런데 이 곳만 문제가 아니다. 전북지역 곳곳에서 작은 풀뿌리 매체들이 비판 기사를 내면 광고비 삭감을 이유로 자치단체 등으로부터 심한 압박과 협박을 받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곳곳에서 돌부리처럼 민주주의를 제약하고, 표현의 자유를 위축하기 위한 행태들을 바꿔나가는 것이야 말로 사회대개혁이다. '백지광고'로 부당한 언론 통제에 맞서는 지역의 건강한 풀뿌리 신문인 <부안독립신문>은 비밀리에 추진되었던 송전탑으로 도내 여러 지역에서 제기된 문제점이 부안지역도 예외가 아님을 지적하고 비판을 이어왔다.

지역 곳곳에서 '민주주의 제약'하고,

'표현의 자유 위축'하기 위한 행태들 

바꿔나가는 것이야 말로 '사회대개혁'

부안군이 불편해 했다는 <부안독립신문>이 작년부터 보도한 고압송전탑 보도 일부를 살펴보면 왜 백지광고 사태까지 이어졌는지 분명하게 드러난다. 물론 이런 배경에는 행정이 절차 진행 과정에서 주민들을 고려하지 않고, 군정 최고 책임자인 군수는 제역할을 다하지 못한 데 원인이 있어 보인다. <부안독립신문>은 이런 상황에서 매주 해당 내용을 보도하며 주민 의견을 담아 전하는 '공론장 역할'을 수행해 온 것이다. 이 뿐만 아니라 변산콘도개발사업, 부안읍내 주차장 부지 논란 등 지역의 문제를 세밀하게 들여다보고 취재해왔다.

그런데 부안군에서 갑자기 '공정성 훼손'이라며 언론사 광고비 집행에서 <부안독립신문>을 배제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어서 황당하다. 물론 공개된 광고비 집행 기준이 없고 공정성 훼손 근거도 없다. 그냥 불편하니 돈줄을 막겠다는 것이다. 바로 이같은 행태를 우리는 '언론 통제'라고 부른다. 공론장을 끌어가는 지역 언론을 입막음 한다는 것은 결국 행정에 반하는 주민들의 발언을 막겠다는 의지다. 풀뿌리 민주주의를 부정하는 행태와 다름없다. 지역의 건강한 풀뿌리 매체를 지켜내는 건 민주주의의 가치를 지켜내는 일이다.

차제에 돌부리처럼 곳곳의 민주주의를 저해하는 나쁜 관행들을 시민의 힘으로 막아내면 어떨까. '백지광고'로 부당한 압력에 저항하는 <부안독립신문>에 시민들의 연대 광고로, <부안독립신문>이 이겨낼 수 있는 시간과 자금을 확보해 주었으면 좋겠다. <부안독립신문>의 '백지광고 투쟁'에 '시민 광고'로 연대해 나갈 것을 감히 제안한다. 

/손주화(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