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초점

전북특별자치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국내 유치 후보 도시로 서울특별시를 제치고 최종 선정되는 대이변을 연출했다.
28일 대한체육회에 따르면 이날 오후 서울시 송파구 서울올림픽파크텔에서 열린 대한체육회 대의원총회에서 62명 대의원 투표 결과 전북은 49표를 얻어 12표를 얻은 서울을 제치고 국내 단독 개최 유치권을 확보했다.
이날 투표 직후 대한체육회는 보도자료를 통해 “2036년 제36회 하계올림픽대회 유치신청도시 선정 투표에서 총 유효 투표수 61표 중 49표를 얻은 전북특별자치도를 국내 유치 신청도시로 최종 선정했다”며 “이번 선정을 위해 경쟁한 국내 후보도시는 서울특별시와 전북특별자치도(전주) 2곳이었다”고 밝혔다.
투표인 61명 중 49명 전북 지지...호남·충청·영남 ‘지방도시 연대’ 높은 평가

'2036 하계올림픽' 후보 국내 도시 선정 투표에는 올림픽 38개 종목 중 회장 선거가 늦게 치러져 투표인단에 포함되지 않은 대한축구협회를 제외한 37개 종목 단체 대의원 62명이 참여한 가운데 무효 1표를 제외한 61표 중 절대 다수인 49표가 전북을 지지함으로써 1988년 올림픽을 치른 경험이 있는 서울이 탈락하고 비수도권 지역이 선정되는 이변이 발생했다.
이날 올림픽 후보 도시 최종 선정은 앞서 오세훈 서울시장과 김관영 전북지사 순으로 각각 45분 동안의 프리젠테이션과 15분의 질의응답에 이은 평가위원회 조사 결과 발표 등의 절차를 거쳐 대의원 투표로 최종 후보 도시가 결정됐다.
특히 이날 김 지사는 올림픽 유치 명분으로 ‘지방도시 연대’를 승부수로 던졌다. ‘비수도권 연대’를 슬로건으로 올림픽을 유치하면 대구스타디움에서 육상 경기를 개최하고, 광주(양궁장·남부대 시립국제수영장)와 충북 청주(청주다목적실내체육관), 충남 홍성(충남 국제테니스장), 전남 고흥(남열해돋이해수욕장) 등 전국적으로 대회를 분산 개최한다는 계획을 제시해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전북이 제시한 이 같은 방안은 IOC(국제올림픽위원회)가 지향하는 인접 도시 연대를 통한 비용 절감 요구에 부합하고 지역 균형 발전에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는 후문이다.
김관영 지사 “전통문화와 첨단기술 결합, 세계적인 문화올림픽을 준비하여 지역과 국가 발전의 핵심 동력으로 삼겠다”

김 지사는 이날 프레젠테이션에서 지방도시 연대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올림픽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경제, 인프라, 스포츠 등 분야별 국가균형발전 효과를 강조함으로써 대의원들에게 한 표를 지지해 줄 것을 호소했다.
국내 유치신청도시 선정 후 김 지사는 “전통문화와 첨단기술을 결합한 세계적인 문화올림픽을 준비하여 지역과 국가 발전의 핵심 동력으로 삼겠다”며 “막중한 책임감을 갖고 주요 경쟁국과의 경쟁에 본격적으로 임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대한체육회는 국내 유치신청도시 선정 결과를 각 유치 희망도시에 통보할 예정이다. 국내 유치신청도시로 선정된 전북특별자치도는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와 기획재정부의 국제행사 유치 심의 등 국제행사 국내 유치를 위한 정부 평가 절차를 받게 된다.
인도, 카타르, 인도네시아, 튀르키예, 칠레, 헝가리 등 10여개 국가 도시와 경쟁 ‘남아’
그동안 서울시는 ‘48년 만에 올림픽에 도전하는 가장 준비된 도시’라는 점을 강조하며 유치 후보 도시 선정에 자신하며 전북과의 공동 개최에도 반대한다는 뜻을 내비쳤지만 결국 탈락하고 말았다. 그러나 전북(전주시)은 앞으로 하계올림픽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국제 무대에서 다른 나라 도시들과 유치 경쟁을 벌여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현재 2036년 하계 올림픽 유치를 위해 인도(아마다바드), 카타르(도하), 인도네시아(누산타라), 튀르키예(이스탄불), 칠레(산티아고), 헝가리(부다페스트) 등 10여개 국가가 유치 경쟁에 뛰어든 상황에서 국제 스포츠계에서는 인도와 인도네시아, 카타르 등 아시아 국가들이 유력 후보로 꼽히는 분위기다. 2036년 하계올림픽에 앞서 2028년 하계올림픽은 미국 로스앤젤레스, 2032년 하계올림픽은 호주 브리즈번에서 열리는 것으로 이미 확정됐다.
한편 2036 올림픽 개최지를 결정할 시기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오는 3월 IOC 총회에서 새 위원장이 선출되고 6월부터 임기를 시작한 뒤 새 집행부 체제에서 ‘2036 하계올림픽’ 개최지 선정 작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박주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