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초점
전주시 행정이 시민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불통 행정'인데다 각종 난개발로 인해 특혜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는 지적이 시의회에서 모처럼 제기돼 관심을 모았다.
전주시의회 최지은 의원(송천2동·덕진동·팔복동)은 5일 열린 제416회 제2차 정례회 본회의에서 시정질문을 통해 "전주시가 주민 의견수렴 과정이 제한적이다 보니 정책의 정당성을 확보하지 못한 채 오히려 갈등만 유발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우범기 전주시장이 내세운 각종 개발 사업이 특혜 논란과 함께 재정 확보에 물음표가 달린다"는 지적도 제기했다.
최지은 전주시의원 “난개발, 특혜, 불투명이라는 논란 반박할 수 있는 명확한 근거 제시해달라"

이날 최 의원은 민선 8기 역점 사업인 왕의궁전 프로젝트, 아중호수 관광 명소화, 전주천·삼천 개발, 모악산 관광지 조성 등을 대표적 사례로 들며 “전통문화와 현대가 공존하는 현 전주시 도시계획 비전과 부합하느냐”고 물었다.
또한 최 의원은 “전주종합경기장의 전시컨벤션센터 건립에 따른 백제대로 교통문제와 주차면당 평균 1억원이 투입된 에코시티의 이른바 '황제주차장' 논란 대책과 각종 사업에 대한 난개발, 특혜, 불투명이라는 논란을 반박할 수 있는 명확한 근거를 제시해달라"고 요청했다.
우범기 시장 “무분별한 개발 아닌 지킬 것은 확실히 지키고, 바꿀 것은 과감히 바꾼다는 기조로 추진할 것” 애매한 답변
이에 대해 우범기 전주시장은 "발전이 정체된 전주가 다시 도약하기 위해서는 혁신적 비전과 계획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무분별한 개발이 아닌 지킬 것은 확실히 지키고, 바꿀 것은 과감히 바꾼다는 기조로 추진할 것"이라고 애매한 답을 내놓았다.
그러나 이날 최 의원은 이어서 “전주시가 지난 8월 황방산 터널 개설사업 관련 주민 설문조사를 했지만, 참여 인원은 효자4·5동 주민 7만 4,000명 중 2,600명에 불과했고, 설문조사는 실제 효자4·5동 주민의 의사보다 타 지역 주민의 의견이 더 많이 반영된 결과였다”며 “해당 사업이 주민 의견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것을 명백히 보여주는 사례"라고 꼬집었다.
“주민 의견 반영하지 못한 사업들 ‘수두룩’…불통 행정” 지적도
또 최 의원은 “전주천·삼천 명품하천 365프로젝트, 금암1·2동 통폐합과 송천1·2동 분동 관련 설문조사도 마찬가지로 일부에서 '불통 행정'이라는 여론이 나온다"며 “더 많은 주민 의견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설문조사 참여율을 제고하고 의견수렴 방안을 다각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도 우 시장은 "시민 의견이 도시 행정의 중심이 돼야 한다는 데 공감한다"며 "정책 추진 과정에서 각종 간담회와 설명회, 토론회 등 소통 기회를 확대하고 생활 불편사항을 중심으로 현장 행정을 강화해 시민의 목소리가 시정에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두루뭉술하게 답했다.
/박주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