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주화 칼럼

손주화 전북민언련 사무국장

갈수록 의혹들이 쏟아져 나오는 전북자치도 칭다오 중국 출장소가 과연 누구의 기획인지 의문이 깊어진다.

경력 없는 전라일보 전 편집국장을 통상 전문가로 채용해 언론시민단체로부터 '특정 언론인에게 자리를 마련해 준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은 것도 모자라, 알고 봤더니 당사자 취업비자도 발급이 안 되어 중국 공안 몰래 출근하며 인건비를 받던 상황이었다고 하니 황당하고 어이없다. 

더 황당하고 어이 없는 건 전북자치도의원들이 현지 점검을 갔더니 텅 빈 사무소로 맞이한 칭다오 출장소란 사실 외에 직원이 실수로 계약을 못해 전북자치도가 사용할 권한도 없는 곳을 도의원과 공무원들이 현지 점검을 간 것이란 점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들통이 났다.

공무원에 머리 숙여 사과한 도의원...어떤 공직자가 그를 두려워하겠는가?

분명 필자가 확인한 공문에는 전북자치도에서 '경제통상진흥원과 중국 사무소 간에 임차계약을 하라'는 지난 6월 공문이 존재했는데 지금까지 뭘 한 걸까? 더욱 가관인 것은 연수에 참여했던 특정 도의원이 '이런 보도가 나가게 해서 미안하다'는 취지로 8일 도의회 정례회 본회의에서 전북도 해당 국장에게 머리 숙여 사과했다는 것이다.

문제를 제기한 동료 의원들과 현지 점검에서 버젓이 드러난 문제가 있는데, 이를 감시하고 질의해야 할 도의원이 비록 개인 행동일지라도 오히려 문제의 대상이자 근원지(인물)에 머리 숙여 사과한 셈이다. 도의회의 위신은 고사하고 이렇게 행정을 두둔하는 상황에서 어떤 공직자가 지방의회의 견제와 감시를 두려워하겠는가?

칭다오 출장소 만들어 채용한 이유는 무엇이고, 누가 뒤를 봐준 건가? 

전북자치도 중국 사무소 건과 관련해서 도의원들이 중국 사무소를 가게 된 경위는 말할 것도 없고, 이후 통상전문가 채용 과정에 대해서도 도의회 회의록을 보니 이건 아니다 싶다. 그동안 언론에 보도된 내용보다 훨신 심각해 보인다. 

도대체 누가 이 같은 사안을 기획하고 설계한 걸까? 문제의 인물을 칭다오 출장소를 만들어가며 채용을 유지한 이유는 무엇이고, 누가 뒤를 봐준 건가? 도의회야말로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배후를 밝혀 되풀이되지 않도록 역할을 해야 하는 것 아닌가? 그러라고 도민들이 뽑아준 것 아닌가?  

그것도 모르고 도의원 신분을 유지하며 의정활동을 계속 한다면 해당 의원은 물론이거니와 그를 도의원으로 뽑아준 지역 유권자들에게도 문제와 책임이 다분한 것으로 보아야 함이 마땅할 것이다.

/손주화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