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승종의 역사칼럼
도시 귀족이 위세를 떨치자 새로운 길드가 등장하여 그 위세에 도전했다. 모직물, 견직물을 생산하는 ‘직인(職人) 길드’(craft guild, Zunft)가 그것이었다. 14세기 이후, 북 유럽의 여러 도시에서는 수공업자 길드가 귀족의 횡포에 저항하며 일종의 ’민주화‘를 이루었다. 그들 길드는 거금을 투자하여 문예를 장려하기도 하였다.
이미 13세기부터 프랑스에서는 직인 길드가 성장해, 자치권을 획득하였다. 그들은 부유한 상인 계급 출신의 도시 귀족을 견제하였고, '참사회'에 참여하여 시정을 개혁하였다. 프랑스의 여러 도시에서 직인 길드는 참정권을 확보하였다. 이웃나라인 네덜란드에서도 그러했다. 위트레흐트 등지에서 직인 길드의 성장이 눈부셨다. 한편, 1363년 독일 뉘른베르크에는 1,217명의 장인이 존재했는데 그들은 약 50개의 길드에 속했다.
중세 서양의 '길드'와 '평등' 그리고 '양국화'
직인 길드는 내부 경쟁으로 인해 구성원들의 사업이 망하지 않도록 다양한 조치를 취했다. 그들은 특정 업종의 영업권을 독점하였고, 여러 규약을 제정함으로써 구성원들에게 일정수준의 수입을 보장하였다. 길드의 구성원들은 원료를 공동구입하고, 장인(master) 휘하의 직인(職人, journeyman)과 도제(徒弟, apprentice)의 수도 제한(1∼3명)했다. 생산도구의 종류와 수도 제한했고, 노동시간까지도 통제했다. 또 완제품의 품질검사를 의무화하고, 판매가격도 미리 통일했다.
도제의 수업 기간은 나라마다 조금씩 달랐다. 영국은 7년, 독일은 3년, 그 밖의 나라에서는 5년 정도였다. 수업을 마친 직인(職人)은 장인이 되기 전에 여러 도시를 편력하며 풍부한 경력을 쌓았다. 불변의 제도가 있어도, 인간의 역사는 늘 변한다. 14세기부터 길드의 세계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독립된 업체를 소유하지 못하는 직인이 많아졌다. 그러자 그들은 직인 길드에 저항하는 세력이 되었다. 이에 직인 길드는 기득권을 지키려고 더욱 보수적인 노선으로 나아갔다. 직인 길드는 외부인이 동종의 사업에 뛰어들지 못하게 막았다. 또한, 지역독점권도 더욱 강화했다.
15세기 유럽의 시장은 더욱 위축되었다. 수공업자들의 생계도 악화되었다. 그러자 직인 길드는 구성원들의 생존권을 보장하기 위해 생산과 판매의 독점권을 강화하였고, 길드의 가입 조건을 더욱 까다롭게 만들었다. 길드는 구성원들의 공생과 내부의 평등을 강조하였으나 그 내부는 양극화로 인해 갈등이 심하였다.
우리는 과연 이 정글을 어떻게 벗어나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 수 있을 것인가?
지금 우리가 사는 21세기의 세상은 무엇이 다른가. 19세기 말부터 본격화된 세계 각국의 산업화도 한 고비를 넘어, 새로운 세상이 오고 있다. 미국 중심의 20세기 형 자본주위 체제는 서서히 막을 내리고, 새로운 질서가 형성되고 있다. 혼란스러운 과도기가 시작된 것이다.
바로 오늘, 11월 5일 미국의 대통령 선거가 바로 그런 혼란을 잘 보여준다. 트럼프라고 하는 괴한이 집권해도 큰일이지만, 최초의 여성 대통령 해리스가 백악관을 차지하더라도 별로 좋은 일은 없을 것 같다. 미국은 이미 몬로주의(고립 정책)로 선회하고 있으며, 세계 곳곳에 부랑배가 준동하는 형국이다. 푸틴과 시진핑과 에도안 등등 이름만 다른 한 무리의 폭력배들이 여기저기서 인류의 앞길을 가로막는다. 자, 우리는 과연 이 정글을 어떻게 벗어나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 수 있을 것인가?
/백승종 객원논설위원(역사학자, 전 서강대 사학과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