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초점

전북대학교가 최근 초유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로 위상과 이미지가 급격히 실추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엔 한 교수가 제자들을 성추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져 2~4년 전 대학과 지역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교수들의 동료 및 학생 성추행 사건의 악몽을 재소환하는 양태를 보이고 있다.
8일 전북대와 법조계 등에 따르면 전북대에 재직 중인 A교수가 여성 대학원생 3명을 강제 추행한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파문이 커지고 있다.
전북대, 지난해 5월 인권센터에 학생들 성추행 신고·접수...5개월 지나서야 ‘징계’, 2차 피해 키워
앞서 지난해 5월 전북대 인권센터에는 대학원생 3명으로부터 'A교수에게 여러 차례 강제 추행을 당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당시 진상조사를 벌여온 인권센터는 지난해 12월 A교수에게 정직 3개월의 징계를 내렸지만 신고부터 징계까지 무려 5개월이나 걸렸다.
이후 A교수는 올해 3월 대학에 복귀했지만 피해 학생들은 A교수를 경찰에 고소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A교수의 해임을 요구했던 한 피해자는 이후 대학원을 자퇴한 것으로 전해져 뒤늦은 대학의 징계 조치로 인해 학생들의 2차 피해 규모를 더욱 키운 것으로 드러났다.
4년 전 ‘동료 교수 성추행’...대학 이미지 실추
전북대는 4년 전에도 동료 교수를 성추행한 교수가 교육부의 재심의 끝에 해임된 사례가 발생하는 등 이로 인한 잡음과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교육부는 2020년 2월 초 B교수에 대한 징계 재심의 결과를 대학에 전달하고 전북대는 중징계를 요구한 재심의 결과를 토대로 B교수에게 해임 처분을 통보했다.
B교수는 2019년 3월 학과 단합대회 이후 차 안에서 동료 교수를 성추행한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았다. 당시 경찰은 혐의가 인정된다고 보고 사건을 불구속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고, 검찰은 보호관찰소에서 성폭력 예방 교육을 받는 조건으로 B교수를 기소유예 처분했다.
그러나 대학 징계위원회는 B교수의 범행과 피해 교수의 진술 등을 전반적으로 살펴 정직 3개월 처분을 의결했지만 당시 김동원 전북대 총장은 징계위의 결정이 낮다며 교육부에 징계 재심의를 요청했었다.
2년 전 학생 성추행 의혹 교수...학내 '갈등·대립' 확산
이 외에도 전북대는 2년 전인 2022년 ‘학생을 성추행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학부에서 쫓겨난 C교수가 5년 만에 다시 강단에 서게 됐지만 학부 교수들은 "또 다른 성추행 의혹" 등을 주장하고, 해당 교수는 “부당한 음해이자 따돌림”이라고 반발하면서 대립과 갈등이 확대된 사례도 있다.
우여곡절 끝에 해당 교수가 학부로 복귀했지만 갈등과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 이처럼 전북대에서는 교수들의 성 관련 추행과 추문이 심심치 않게 발생해 지역거점국립대학의 이미지가 크게 실추됐다. 그런데 이번에 제자들을 성추행한 혐의로 교수가 재판을 받고 있다는 사실이 또 알려지면서 도민들에게 큰 실망과 충격을 주고 있다.
가뜩이나 전북대는 지난 7월 28일 오전 3시와 밤 10시, 11시 20분경 등 모두 세 차례에 걸쳐 대학통합정보시스템인 '오아시스'가 해킹을 당해 재학생 및 졸업생, 평생교육원 회원 등 32만 2,425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돼 2차 피해가 발생하는 등 파장이 거세게 일면서 대학 위상이 곤두박칠치는 형국이다.
사법 및 정보당국은 이번 사태와 관련 "대학교는 정보와 데이터 등 풍부한 인프라를 갖췄지만 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이 취약한 편이며, 자칫하면 개인정보 뿐만 아니라 연구 데이터를 탈취하기 위한 해킹 공격 사례에 노출될 위험성이 크다"며 "현재 대규모 해킹을 당한 전북대 시스템 정보와 취약점을 파악하기 위한 스캐닝 작업과 추적 수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박주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