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현장

지난 7일 전주페이퍼가 청년 노동자 사망 후 22일 만에야 유족에게 사과를 하고 장례를 치를 수 있게 된 것은 다행이지만 사건은 여전히 끝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회사의 사망 사건 축소·은폐 시도 정황이 드러나면서 철저한 재조사와 진상규명이 요구된다는 주장이어서 주목을 끈다. 

진보당 전북특별자치도당은 9일 논평을 통해 “7일 진행된 전주페이퍼 현장 1차 공개조사에서 황화수소가 100ppm 이상 검출된 ‘MAX’로 측정되었으나 회사는 이 같은 1차 공개조사 결과는 숨기고, 2차 조사에서 측정된 미량의 황화수소 수치(4~5ppm)만을 발표해 축소·은폐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며 “회사의 사건 축소·은폐 의혹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고 전제했다.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국가기관의 철저한 재조사와 진상규명 이뤄져야”

7일 오전 9시 전주페이퍼는 유족과 노동·시민사회단체들의 요구에 따라 청년 노동자 사망사고 현장에 대한 재조사를 진행하기 앞서 안전보건팀장이 사전 설명을 하고 있다.
7일 오전 9시 전주페이퍼는 유족과 노동·시민사회단체들의 요구에 따라 청년 노동자 사망사고 현장에 대한 재조사를 진행하기 앞서 안전보건팀장이 사전 설명을 하고 있다.

이어 논평은 “지난 6월 21일 고인의 사망 원인을 밝히기 위한 작업환경조사 전날 밤에 회사는 갑작스럽게 배관과 탱크를 물청소해 사건 은폐 의혹을 불러일으키더니 이번 7일 현장 조사에서는 황화수소 수치 결과까지 축소하여 발표한 것”이라며 “그동안 회사는 황화수소가 단 한 번도 검출된 적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는 점에서 진보당은 일련의 회사의 조치를 전주페이퍼 사망사건의 축소·은폐 시도로 규정하고 강력히 규탄한다” 고 밝혔다.

또한 논평은 “회사는 현장 공개조사에 참여한 기자들에게 마스크 착용도 필요 없을 정도로 안전하다고 확언했지만 당시 참여한 기자들은 어지럼증 및 두통 등을 호소하고 있다고 한다”며 “그동안 회사가 얼마나 작업 환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노동자들의 안전 관리에 소홀했는지 알 수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논평은 “공장 내부에서 황화수소가 검출된 만큼 고용노동부를 비롯한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국가기관의 철저한 재조사와 진상규명이 이뤄져야 한다”며 “사건의 원인을 명확히 밝혀야 그에 따른 재발방지책을 세우고 또 다른 사고를 막을 수 있다. 진보당은 19세 청년 노동자 사망사건의 진상규명과 노동자들이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 이상 죽음 각오하고 일하는 노동자들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지난달 25일 오전 11시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에 소재한 전주페이퍼 공장 앞에서는 입사한 지 6개월 밖에 되지 않은 19세 노동자의 죽음을 방관한 전주페이퍼의 공식 사과와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유가족과 노동시민단체들의 기자회견이 열렸다.
지난달 25일 오전 11시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에 소재한 전주페이퍼 공장 앞에서는 입사한 지 6개월 밖에 되지 않은 19세 노동자의 죽음을 방관한 전주페이퍼의 공식 사과와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유가족과 노동시민단체들의 기자회견이 열렸다.

진보당은 앞선 지난 8일에도 성명을 내고 “7일 사측의 현장점검 과정에서 황화수소가 검출된 사실은 기간 노동지청과 사측의 안전점검과 사인규명 작업에서 허점이 있었다는 반증”이라며 “사망 원인 규명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이 이제 전북자치도와 노동부, 검찰 등 국가기관의 몫으로 남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성명에서 진보당은 “철저한 현장검증과 역학조사 및 현장 노동자 심층조사 등을 통해 더 이상 죽음을 각오하고 일하는 노동자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왜냐면 고인은 떠나갔지만 전주페이퍼의 현장에는 또 다른 노동자들이 일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박경민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