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민언련이 19일 밝힌 '2차 공개질의서' 일부.(전북민언련 제공)
전북민언련이 19일 밝힌 '2차 공개질의서' 일부.(전북민언련 제공)

“쌈짓돈 논란 키운 전북자치도청 대변인실 광고비 집행의 진실은 무엇입니까?”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전북민언련)이 19일 전북자치도 대변인실과 전북자치도의회 출입기자단에게 2차 공개질의서를 보내 주목을 끈다. 전북민언련은 앞서지난 10일 1차 공개질의서를 통해 지난 5월 일부 언론 보도로 촉발된 전북자치도청 대변인실 광고비 지급 논란과 관련해 "전북도의회 기자단의 입장을 기다리며 향후 이와 관련해 파악되는 내용을 모두 공개할 것"이라고 밝힌데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전북민언련은 이날 “지난 5월 언론 보도를 통해 대변인실에서 발생한 선심성 광고비 지출 문제를 인지하게 되었고, 이후 성명과 공개질의서, 기자회견, 의견서 접수 등의 과정을 통해 ▲홍보비 집행 원칙 기준 마련 및 투명성 확보 ▲전북기자협회 연수 상황 점검 ▲전북도의회 출입기자단 진상 조사 및 공개 ▲감사위원회 철저한 조사를 요구를 지속적으로 요구했다”면서 “그러나 이후 공식적인 답변 대신 일부 언론에 보도된 두 건의 기사를 통해 대변인과 전북도의회 기자단의 입장 및 도정 광고비 집행 과정을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광고 예산 임의 집행 사실 밝히고 홍보비 집행 기준 공개할 것”

전북미언련을 포함한 전북시민사회단체연대와 전북민중행동, 예산감시전국네트워크 등 전북지역 51개 시민·노동·사회단체는 13일 오전 10시 30분 전북자치도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북도청 대변인실 광고비 집행 의혹을 철저히 감사하고 해명할 것"을 촉구했다.
전북미언련을 포함한 전북시민사회단체연대와 전북민중행동, 예산감시전국네트워크 등 전북지역 51개 시민·노동·사회단체는 13일 오전 10시 30분 전북자치도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북도청 대변인실 광고비 집행 의혹을 철저히 감사하고 해명할 것"을 촉구했다.

이어 전북민언련은 “전북도 대변인은 이러한 선심성 광고 집행 또한 ‘대변인의 고유 권한’이라는 입장이며, 기자단은 ‘해명할 가치가 없기 때문에 해명할 필요도 없다’는 입장이었다”며 6월 14일 보도된 서울신문과 미디어오늘의 관련 보도 사례를 소개했다.

그러면서 전북민언련은 전북자치도 대변인실을 향해 "▲갑질 논란의 시발점이 된 대변인실 주무관의 임의 집행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지 밝힐 것 ▲주무관이 서울신문과 6월 14일 인터뷰한 내용(대변인이 해당 언론사 기자와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회의에서 거론한 내용 및 제시한 근거)은 사실인지 밝힐 것과 만약 사실이 아니라면 7개 언론사에 선별 지급한 사유 및 근거는 무엇인지 밝힐 것 ▲대변인실은 광고 예산 편성과 집행을 위한 명확한 기준이 있는지, 있다면 홍보비 집행 기준을 공개할 것" 등을 요구했다.

또한 전북민언련은 “‘해명할 가치가 없기 때문에 해명할 필요가 없다’는 전북도의회 기자단에도 다시 묻는다”면서 "언론에 해명할 가치가 없다고 발언은 누구를 향한 것인지 밝힐 것과 4월 16일 전북자치도 대변인과 특정 기자 2명이 오찬을 함께한 이후 광고 집행이 이어졌다는 보도 내용은 많은 의문을 남기고 있는데 보도가 사실이 아니라면 지역사회가 납득할 만한 합리적인 근거를 공식적·개적으로 제시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밖에 전북민언련은 “이번 논란이 전북자치도 홍보비 집행 기준의 원칙과 투명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향후 이와 관련해 파악되는 내용은 지속적으로 공개할 것”이라고 공개질의서 말미에 강조했다.

“광고 지출은 대변인의 권한, 출입 언론사들 상대 꾸준히 지출"..."해명할 가치 없기 때문에 해명할 필요도 없다”

한편 미디어오늘은 14일 관련 기사(전북도청 대변인실, 출입기자 ‘선심성’ 광고비 집행 논란)에서 “전북도청 대변인은 지난 13일 미디어오늘에 일상적인 광고 집행이라는 입장을 반복했다”며 “임 대변인은 ‘광고 지출은 대변인의 권한’이라며 ‘출입하는 언론사들 상대로 꾸준히 광고비 지출을 하는 과정의 일환’이라고 했다”고 보도했다.

또한 기사는 “(임 대변인은)이어 ‘어떤 언론사에만 직접적으로 많이 몰아주거나 했다면 몰라도 그런 게 아니다’라며 ‘개인에게 준 것도 아니고 회사로 집행했고 법률적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는 내용도 함께 전했다.

이밖에 “갑질 의혹과도 관련이 돼 있어 해당 감사에 넣어서 감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는 해당 기사는 “전북도의회 출입기자단은 관련 의혹을 부인했다”며 “출입기자단 간사는 이날 미디어오늘에 ‘해명할 가치가 없기 때문에 해명할 필요도 없다’며 ‘전북도에서 감사를 하고 있으니 결과가 나오면 알게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박주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