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초점

갑질 논란으로 사직서를 제출한 뒤 일주일여 만에 사퇴 철회서를 통보한 전북자치도청 전 기업유치지원실장(2급, 개방형)에게 대기발령 조치와 함께 자체 감사에 나서기로 했지만 공직사회의 비난과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특히 해당 간부는 갑질 논란을 일으킨 뒤 사직서를 내고도 "전북이 왜 제일 못사는 도인지 알겠다"며 전북을 비하하는 글을 자신의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 올리는 등 사직서 수리가 이뤄진 후에 다시 철회를 요청해 공분이 가라 앉지 않고 있다.

전북자치도 “공무원 처신의 문제...업무수행 불가 대기발령”

전북특별자치도청 입구 전경.(자료사진)
전북특별자치도청 입구 전경.(자료사진)

이와 관련 28일 최병관 전북자치도 행정부지사는 브리핑을 통해 “도청 내 갑질 의혹 논란이 불거진 뒤 사직서를 제출한 해당 간부가 27일 주무 부서를 경유해 (사퇴)철회서를 제출했다”면서 “현재 의원면직 처리 절차를 밟는 과정이기 때문에 철회서가 수용됐다”고 밝혔다. 

이어 "공무원 처신의 문제이기에 감사위원회에서 조사해 판단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한 최 부지사는 “해당 간부는 현재 연가 상태로 사실 상 업무수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총무과로 대기발령한 상태"라며 “해당 부서(기업유치지원실)는 권한대행 체제로 가동되며 주무 과장이 직무대리를 맡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갑질 논란의 중심에 있는 해당 간부는 부서 직원들을 대상으로 폭언(인사 조치 등)과 일방적 업무지시 등의 갑질 논란을 일으켜왔다. 논란이 확산되자 해당 간부는 지난 21일 사표를 제출한데 이어 23일 수리(의원면직)됐다. 그러나 그는 SNS에 ‘전북이 왜 제일 못사는 도인지 알겠다. 일 좀 해라. 염치없이 거저 가지려 하지 말고’란 글을 게시해 지역 비하 논란을 일으키는 등 이전에도 갑질을 했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공무원들 “한낱 아르바이트에 불과했나, 희대의 명언 남기고 사직서 철회라니” 비난...김 지사 침묵에 ‘따가운 시선’

전북자치도는 향후 감사를 통해 갑질 의혹과 지역 비하 논란, 공무원 품위 유지 위반 등에 대해 규명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날 전북자치도청 내에서는 갑질 의혹 논란과 함께 부적절한 지역 비하 글을 올린 데 이어 사퇴 철회를 한데 대한 비난과 비판이 종일 이어졌다.

전북자치도 내부 게시판에는 이날 "저에게는 평생 직장이 한낱 아르바이트에 불과했던가요?", "희대의 명언을 남긴 실장이 사직서를 되레 철회한다는 상황이 선뜻 이해가 되질 않는다"는 등의 글이 올라왔다. 또한 "전북을 향해 소변도 보지 않을 것처럼 명언을 남기신 분이 되돌아온다니요?"라고 묻는가 하면 "간부급 공무원이 손바닥을 뒤집듯이 번복하는 것 자체가 과연 옳은 처사인지 묻고 싶다"는 글도 눈에 띄었다.

하지만 지난해 7월 임명한 개방형 고위직 공무원이 갑질 논란에 이어 노골적인 지역 비하에다 수리된 사퇴 철회까지 했음에도 김관영 지사는 이날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아 따가운 시선을 받았다. 

한편 해당 실장은 지난해 7월 개방형 2급 직위인 기업유치지원실장 공모를 거쳐 임용됐으나 갑질 논란을 일으키며 1년도 안 돼 지난 21일 사직서를 제출했다. 

/박주현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