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땀 나기 전에 돌려야 합니다. 빠떼루를 줘야 합니다."
전북 부안 출신으로 전주영생고 재학시절부터 레슬링을 시작해 각종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한 것은 물론 은퇴 후에는 레슬링 경기 해설가로 더욱 유명해진 '레슬링의 전설' 김영준(金寧俊)씨가 15일 오전 3시 45분께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향년 76세.
'빠떼루 아저씨' 추억하는 많은 사람들 애도 속 영원한 안식
'빠떼루 아저씨'라는 별명으로 많은 팬들과 친숙했던 고인이 최근까지 대학 교수 등 왕성한 사회 활동을 해오다 갑작스런 별세 소식에 많은 사람들이 안타까움과 황망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1948년 전북 부안에서 태어나 전주영생고와 한양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고인은 160㎝ 단신에 68㎏의 체구에도 레슬링 국가대표로 발탁돼 1970년 방콕 아시안게임을 비롯해 1972년 뮌헨올림픽과 1974년 테헤란 아시안게임 등에 출전해 국위를 떨쳤다.
1976년 대표선수 은퇴 후 1983년부터 2년간 레슬링 국가대표 자유형 감독을 맡은데 이어 1984년 LA올림픽 때에는 금메달을 확정한 유인탁을 목에 태우고 경기장을 돈 장면은 많은 국민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이어 1984년부터는 TV 레슬링 해설을 시작해 1986년 아시안게임, 1988년 서울올림픽,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마다 구수한 전라도 사투리로 레슬링 경기를 재미있고 친숙하게 널리 알렸다. 또한 고인은 대한주택공사에 입사해 1997년까지 호남지사 과장과 연구관리부장, 홍보실장 등으로 일하며 고향인 전북에도 자주 왕래했다.
레슬링 해설 이어 대한주택공사 홍보실장, 대학 교수 등 왕성한 활동
고인은 1988년부터1991년까지 대한레슬링협회 이사에 이어 1991년 아시아레슬링선수권대회 선수단장으로도 활약하기도 했으며 1997년에는 한나라당 이회창 대통령 후보 특보를 맡아 잠시 정치권에 몸을 담기도 했다. 이어 1998년부터는 경기대 체육학부에서 겸임교수로 강단에 서기 시작해 2001년부터 2013년까지는 스포츠과학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며 많은 후학들을 가르치다 2013년부터는 한민족공동체재단 부총재, 윤봉길기념사업회 이사 등으로 활동했다.
무엇보다 친근한 '빠떼루 아저씨'란 이미지를 간직해 온 고인은 올림픽 이후에도 '빠데루 열풍'을 이어가며 대중들의 큰 사랑을 받았다. ‘빠떼루 아저씨’란 이미지와 '한국 레슬링의 전설'로 각인돼 온 고인이 이제는 추억하는 많은 사람들의 애도 속에 영원한 안식에 들었다.
고인의 유족으로는 부인 배숙희씨와 사이에 1남 1녀로 아들 김지훈(카카오엔터테인먼트사업본부장), 딸 김소원(사업)씨와 며느리 정눈실(한화솔루션 전략부문 상무)씨 등이 있다. 빈소는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15호실, 발인은 18일 오전 7시, 장지는 분당 봉안당 홈(연락처: 02-3410-6915)이다.
/박주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