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전북 경제의 현주소를 나타내는 각종 지표가 초라하기만 하다. 지난해 모든 지표에서 전국 하위권 수준을 맴돌았다. 특히 지역내총생산과 지역총소득이 전국 2%대 수준에서 여전히 헤어나지 못하고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22년 지역소득'에 따르면 전북의 지역내총생산은 57.8조원으로 전국 9개 도 가운데 제주와 강원에 이어 하위 3위를 차지했다. 이는 전국의 2.7% 수준에 불과한 수치다. 또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3,246원만으로 제주 다음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 지역내총생산 57.8조, 전국 2.7% 수준...1인당 지역내총생산 3,246만원, 제주 다음 가장 낮아

지역내총생산이 가장 많은 경기지역의 547조원에 비해 전북은 10배가량 낮고 1인당 지역내총생산도 9개 도 중 인근 충남이 5,894만원으로 가장 높고 전남은 5,142만원으로 그 뒤를 이은 것과 달리 전북(3,246만원)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1인당 개인소득에서도 전북은 2,226만원으로 전국 9개 도 가운데 제주, 경남, 경북에 이어 4번째로 적었다. 이 같은 전북도민 1인당 개인소득은 전국 평균보다 113만원(4.8%)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소득은 가계 등이 임의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가계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전북 실질 지역내총생산 2.1% 성장...서비스업 비중 60.4% 가장 높아

지난해 전북의 지역내총생산이 전국의 2.7%를 차지하며 실질 지역내총생산은 전년대비 2.1% 성장한 것으로 분석됐다. 업종별로는 건설업(-5.1%), 교육서비스업(-0.6%) 등은 감소했으나 보건·사회복지업(5.2%), 공공행정(2.8%) 등은 증가했다.
전북지역 경제 구조(생산·지출)는 서비스업 비중이 전년보다 1.3%p 증가한 60.4%를 차지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높은 광업·제조업(23.9%→24.0%) 비중은 증가한 반면 농림어업(7.9%→7.4%) 비중은 소폭 감소했다. 서비스업 중 공공행정(12.7%→13.3%), 숙박·음식점(2.2%→2.7%) 등은 증가했으나, 교육서비스업(7.9%→7.7%), 부동산업(5.8%→5.7%) 등은 감소했다.
전북 지역총소득 61.1조원, 전국 2.8% 차지

이밖에 전북의 지역총소득은 61.1조원으로 전국의 2.8%를 차지한 가운데 지역총소득 중 피용자보수는 총소득의 45.9%를 차지했고, 영업잉여 및 재산소득은 23.4%, 생산 및 수입세는 9.4%를 차지했다.
한편 '지역소득' 통계는 한 지역의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 기간에 새로이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금액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통계를 말한다.
'개인소득'은 가계 및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가 임의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가계의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를 말하며 추계인구로 나누어 1인당 개인소득을 산정한다.
/박주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