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계 이슈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전북민언련), 호남언론학회, 언론노조전북협의회가 공동 주최한 '윤석열 정부의 방송정책에 대한 긴급 좌담회'가 24일 오후 2시부터 약 2시간 30분 동안 전북대학교 인문사회관에서 열렸다.
김은규 전북민언련 공동대표와 한승우 언론노조 전북협의회 의장의 인사말로 시작한 이날 좌담회는 손주화 전북민언련 사무처장의 진행으로 유진휘 KBS전주총국 기자와 이창익 전주MBC 기자의 발제로 시작됐다.
‘정부의 공영방송 수신료 분리징수와 이동관 방통위원장 후보자 지명이 미칠 영향’에 대해 발제한 유진휘 KBS전주총국 기자는 “수신료 분리 징수에 따른 시청자와 여러 사회 주체의 혼란이 있다”며 이번 이동관 방통위원장 후보자 청문회에서도 공영방송을 흔들기 위한 의도와 시각이 있다는 점을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역 언론 생태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공론화 필요”

또한 그는 “수신료 분리징수 고지가 추진되고 있는데 절차가 합리적이지 못하고 폭력적이다”라며 "공영방송 근간이 윤석열 정부에 의해 흔들리고 위기를 맞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공영방송이 지나친 상업성을 배제하고 공공의 이익에 맞는 방송을 하기 위해 방송시장에 걸맞은 재원과 안정적 제작 여건을 마련하기 위한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덧붙인 그는 "현 정부의 지역 언론 정책, 지역 언론의 생태계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공론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두 번째 발제를 맡은 이창익 전주MBC 기자는 “사회적 약자가 재난에 더 취약하듯 직격탄을 맞는 것은 먹이사슬 끝자리에 있는 지역 중소언론”이라며 KBS 수신료 분리 징수가 지역 언론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 이 기자는 또한 “이동관 방통위원장 후보자 임명은 방송 장악의 명확한 선언이고 방송언론 질서 파괴가 불가피하다"며 "이러한 방송 장악과 2TV 폐지 및 MBC, YTN 등 민영화 시도는 방송사 파괴로 이어질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예측했다.
또한 그는 "지역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이 제한적이지만 “연대와 협업, 지역 밀착을 통해 국민 갈라치기를 하는 권력의 도발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학계, 시민사회단체, 언론노조 등을 대표해 이만제 원광대 행정·언론학부 교수, 박민 전북민언련 정책위원장, 김남규 전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상임공동대표, 한승우 언론노조 전북협의회 의장이 참여했다.
먼저 이만제 교수는 “현 상황이 보수적인 시각의 언론들을 생산해 내는 그런 지형과 그걸 획책하고 있는 게 아닌가하는 의심이 들게 할 정도”라며 “수신료와 이동관 방통위원장 후보자 지명까지 쭉 연결이 된다는 점에서 더욱 이 문제가 심각하다”고 말했다.
이어 김남규 대표는 지역의 비전이 빠진 상황에서 오는 답답함을 토로했다. 그는 “현재 벌어지고 있는 언론 문제에서 지역이라는 키워드를 어떻게 만들어갈 것인가?”라고 물으며 “서울이나 중앙 권력 전체에 대한 대응은 공동 영역의 행동이긴 하지만, 지역에서는 지역이라는 키워드를 어떻게 만들고 전달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BS 내부 흔들겠다는 전략...강경하고 선명하게 맞서 싸워 나갈 것”

이날 박민 정책위원장은 수신료 분리 징수에 대한 토론에서 “정부로서는 꽃놀이패라는 생각이 든다. 적당히 분리징수 추진하다가, 정권이 원하는 지배구조가 완료된 시점에서 슬그머니 복원시킬 수도 있다. 윤석열 정부에서는 끝까지 강행할 부분은 아닌 거 같다. 그러면 의도하는 바는 무엇인가?”라고 물으며 “이것은 KBS 내부를 흔들겠다는 전략”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향후 이동관 지명자가 위원장이 되어 보도통제를 시도할 때 KBS가 내부에서 저항하느냐 마느냐는 굉장히 중요한데 최소한 수신료 문제들을 건드림으로써 KBS 구성원들에게 생존에 대한 위기감을 증폭시켰고, 일련의 방송장악 프로그램의 저항감을 없애는 사전 정지작업으로서는 유의미했다”며 “이것을 기획했을까라고 생각하면 상당히 두렵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한승우 의장은 “현재 언론노동조합은 공영방송·공정방송의 가치를 지켜나가기 위한 실질적인 싸움의 최전선에 놓여 있다”며 “정파성에 맞는 형태로 방통위, 금감원, 감사원을 권력의 도구로서 이용하고 있고 본인들의 목적을 노골적으로 획득하려고 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노조에서는 강경하고 선명하게 맞서 싸워 나갈 것”이라는 말했다.
/박경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