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초점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로 불안감이 확산되는 가운데 전남 영광 한빛원자력발전소 1·2호기 수명 연장에 대한 인근 주민들의 우려와 불안이 한층 커지고 있다. 

25일 한빛핵발전소대응 호남권공동행동 등에 따르면 올해로 37년 된 한빛원전은 품질 위조 부품을 사용하다 적발돼 말썽난 짝퉁 부품 사건, 수백개에 달하는 방호벽 공극 발견 파문 등 크고 작은 논란 속에 가동 중단과 재가동을 반복하면서 안전사고 우려를 키워왔다. 특히 이 중 2호기는 지난달 말에도 고장파급 방지장치(SPS) 설치작업 중 자동 정지 사고가 발생해 주민들의 불안을 더욱 키웠다.

그런데 이처럼 불안한 한빛원전 방사선비상계획구역(EPZ·반경 30㎞)에는 영광군을 비롯한 인근 전남지역 외에도 전북의 고창과 부안지역 약 6만 5,000명의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다. 그런데 날로 안전사고 위험성이 증가는 것과는 달리 불의의 사고를 가정한 안전대책은 거의 없다시피한 실정이어서 주민들은 마냥 불안하기만 하다.

“한빛원전 1·2호기 수명 10년씩 연장, 핵연료 저장고 건설까지...안전 대책은 미흡” 비난 여론

한빛원전 입구 전경
한빛원전 입구 전경

이에 한국수력원자력은 이날 오전 영광군 예술의전당에서 고창, 부안, 장성, 함평 등 한빛원전 방사선비상계획구역(EPZ·반경 30㎞) 거주민과 지자체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1·2호기 수명 연장에 관한 주민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지만 주민들 반응은 싸늘하기만 하다.

지난 6월 한수원 이사회가 1·2호기 수명 연장을 결심한데 따른 후속 조치로 열릴 설명회는 앞선 4월 확정된 윤석열 정부의 ‘제1차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에 따라 오는 2025년 12월과 2026년 9월에 각각 폐로가 예정됐던 한빛원전 1·2호기 수명을 10년씩 더 연장하겠다는 방침을 정한데 따른 후속 조치란 점에서 더욱 따가운 눈총을 받는다.

더구나 한수원은 최근 한빛원전 부지에 사용 후 핵연료(고준위 폐기물) 저장고 건설 방침을 내세워 지역사회의 거센 반발을 샀다. 따라서 주민들은 이번 설명회가 구체적인 안전 대책은 없고 환경영향평가 용역 결과를 소개하는 요식 행위의 자리가 될 것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핵없는세상을위한 고창군민행동'과 '영광핵발전소 안전성확보를위한공동행동' 등 시민단체들은 주민 설명회를 앞두고 “한빛원전 1·2호기 수명 연장 중단”을 촉구하면서 “한빛 1·2호기는 각각 1986년과 1987년에 상업운전을 시작한 노후화된 핵발전소 임에도 수명을 연장하겠다는 것인데 이는 지역 주민들 의사는 배제한 채 핵 자본 지속을 위해 계속 가동하겠다는 것으로 위험천만한 발상”이라고 주장했다. 

이밖에 고창군과 부안군 등 전국 원전동맹 소속 23개 지자체들은 가칭 ‘원자력안전교부세’ 도입을 촉구하는 범국민 서명운동을 펼쳐 지난 7월 말까지 134만여명이 참가하는 등 원전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박주현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