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사회혁신센터에서 23일 열린 전주시 종합리싸이클링타운 노동환경경 실태 및 개선방안 토론회 모습.(사진=전주시의회 제공)
전주사회혁신센터에서 23일 열린 전주시 종합리싸이클링타운 노동환경경 실태 및 개선방안 토론회 모습.(사진=전주시의회 제공)

음식물 폐기물과 재활용 폐기물, 하수슬러지 등을 처리하기 위해 전주시가 막대한 혈세를 지원해 운영되는 전주종합리싸이클링타운이 더 이상 민간에 맡길 것이 아니라 시가 운영에 직접 참여하는 것은 물론 노동환경 개선에도 적극 노력해야 한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23일 전주사회혁신센터 컨퍼런스홀에서 전주시의회 한승우·채영병의원이 주최하고 전북노동정책연구원이 주관해 열린 '전주시 종합리싸이클링타운 노동환경 실태 및 개선방안' 토론회에서 이 같은 주장이 제기됐다.

이날 토론회는 종합리싸이클링타운 근무 노동자의 현장 증언에 이어 강문식 전북노동정책연구원 연구위원과 손종명 공공운수노조전북본부 정책국장이 노동조건 실태조사 연구 결과 및 정책 제언 발표가 이어졌다. 

먼저 발표자들은 사회기반시설인 리싸이클링타운의 민간 운영으로 인해 비롯된 잔재물 증가와 동일 업종 노동자에 비해서도 열악한 전주 종합리싸이클링타운 노동자의 노동환경과 처우를 지적했다. 또한 전주시의 시설 지분 확보 및 운영 참여와 노·사·정 운영기구 설치, 교대제 개선 등에 대한 정책 등이 대안으로 제시됐다. 

이밖에 발표자들은 사회기반시설인 리싸이클링타운의 민간 운영으로 인해 비롯된 잔재물 증가와 동일 업종 노동자에 비해서도 열악한 전주 종합리싸이클링타운 노동자의 노동환경과 처우를 지적했다. 토론에서는 전주시의회 한승우 의원과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최민 상임활동가, 전주시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 유기만 정책국장, 전주시 자원순환과 배상열 팀장이 참여해 발표된 제언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박경민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