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 이슈
전주시가 '재단법인 전주시정연구원'을 이끌어갈 초대 원장을 공개 모집하고 나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공모 전부터 예상 후보자들이 세간에 나돌아 최종 물망에 누가 오를지 벌써부터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주시는 25일부터 오는 8월 8일까지 15일 동안 (재)전주시정연구원의 1대 원장 모집을 위한 공고를 실시했다. 앞서 전주시는 지난해 4월 개정된 '지방자치단체출연 연구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해 국내 인구 50만 이상 지방자치단체 중 전국 최초로 설립 허가를 받았다.
전주시정연구원장 후보, 시장 측근 거론...시민 눈높이 맞는 역할·기능 '우려'

전주시정연구원장의 임기는 3년이며, 1회에 한해 연임이 가능하다. 보수의 경우 시는 인구 100만 도시의 시정연구원과 동등한 수준인 전문임기제 2급 상당 수준을 지급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전주시의 '능력 있는 인재' 영입 복안과는 달리 전북의 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전북연구원과의 중복성과 예산의 효율성 측면에서 전주시정연구원의 필요성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도 나오고 있다.
더욱이 우범기 시장 체제 들어서면서 시정연구원 설립을 강하게 밀어붙여 시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역할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지 기대보다 우려가 크다. 특히 초대 원장에 많은 인사들이 거론되는 가운데 일부는 지난 지방선거 과정에서 우 시장을 도왔던 인물들이 꾸준히 거론되고 있다.
또한 원장 외에도 많은 연구 인력을 모집하는 과정에서도 적지 않은 보은·측근 인사 논란이 예상된다는 지적이다. 초대 원장의 자격 요건으로 전주시는 ‘시 발전과 연구원 운영에 관심 있어야 하며, 경영자로서의 역량을 구비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그러나 두루뭉술하다는 지적을 받는 가운데 구체적인 자격으로 △대학의 부교수 이상 경력 △3급(상당) 이상 공무원 1년 이상 경력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출자·출연기관 임원 경력 또는 선임연구위원급 5년 이상 재직 경력 △국내외 민간연구기관의 임원 경력 또는 선임연구위원급 이상으로 10년 이상 재직 경력 △기타 동등한 자격이 있다고 인정되는 사람 중 최소 한 가지 자격을 충족하면 지원할 수 있다고 공고했다.
아울러 관련 법률 및 연구원 규정에 명시된 임원 결격사유가 없어야 하며, 공공기관장으로서 사회적 덕망과 공직윤리의식을 갖춰야 한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접수는 8월 4일 오전 9시부터 8월 8일 오후 6시까지 주말과 휴일을 제외한 3일간 전주시 시정연구원추진단(완산구 기린대로 213, 대우빌딩 3층)에서 이뤄진다.
/박주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