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초점

전주시가 배드민턴 실업팀 창단을 앞두고 파열음을 내며 갈지자 행보를 거듭함으로써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다. 전주시는 지난달 10일 배드민턴팀 감독 공개채용 공고를 낸 후 다음 날 바로 공고를 내리고 취소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13일 전주시에 따르면 해당 공고가 올라가자 지도자 지원 자격요건에 ‘초·중·고’ 경력이 빠진 ‘대학 또는 실업팀에서 3년 이상 해당 종목 지도 경력자’ 라는 항목과 관련해 민원이 제기돼 취소에 이른 것이라고 밝혔다.

전주시의회 “조례를 눈감고 뭉개버리는 분별력 없는 독단적인 행정” 비난

김윤철 전주시의원(사진=전주시의회 제공)
김윤철 전주시의원(사진=전주시의회 제공)

그러나 전주시의회에서는 전주시 배드민턴팀 감독 재공고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김윤철(중앙·노송·풍남·인후3동) 시의원은 12일 전주시의회에서 열린 제402회 정례회 1차 본회의 5분 발언에서 “전주시가 감독 선발 모집을 아무런 해명도 없이 중단했다”며 “이는 조례를 눈감고 뭉개버리는 분별력 없는 독단적인 행정”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지도자로서의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최적의 감독을 선발하고자 해당 부서와 심도 있고 격렬한 의회 간담회를 거쳐 수정안으로 조례를 통과시켰다”고 밝힌 김 의원은 “그럼에도 전주시는 잉크도 마르지 않은 조례를 다시 개정하기를 원하고 있다”며 “이는 조례를 정면 무시하는 도발적인 행정 행위”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누구의 지시이고 발상인지는 모르겠지만 만약 전주시가 독단적인 행정 자세로 일관한다면 의회와의 충돌을 피할 수 없을 것임을 분명히 경고한다”면서 “전주시는 부당한 명분을 접고 재공고를 조속히 실행, 배드민턴 실업팀 창단을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3월 22일 배드민턴단 창단을 포함한 '전주시청 직장운동경기부 설치 및 운영 조례안'이 전주시의회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통과되기까지 진통을 겪었다. 당시 전주시는 기존처럼 운동부 창단과 관련된 포괄적인 부분은 조례안에 담고, 감독 선발 등 구체적인 사항은 규칙에 담아 의회에 상정했다. 그러나 전주시의회는 감독 선발에 대한 부분도 규칙이 아닌 조례안에 담을 것을 요구했다.

전주시 “초·중·고 제외하면서 발생한 민원으로 인해 공모 취소...감독 선임 절차 중단” 해명

전주시청 전경(사진=전주시 제공)
전주시청 전경(사진=전주시 제공)

특히 감독 자격 기준을 두고 의견이 갈렸다. 전주시는 ‘초·중·고, 대학 또는 실업팀에서 3년 이상 해당 종목 지도 경력이 있는 사람’ 모두 감독에 지원할 수 있도록 하자고 한 반면, 시의회는 '초중고' 부분을 삭제하고 '대학 또는 실업팀에서 3년 이상 지도경력이 있는 사람'으로 한정하기를 요구했다. 팀 역량강화 차원에서 폭을 좁힐 필요가 있다는 이유를 내세웠다. 

결국, 해당 조례안은 시의회의 요구에 따라 수정 가결됐고 본회의를 통과했다. 조례안에 포함되면서 감독 선정에 대한 부분도 의회의 승인을 받게 됐다. 이에 따라 규칙은 전주시에 전권이 부여되지만 조례에 포함될 경우 의회의 승인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 같은 조례안 통과로 배드민턴팀 창단작업에 본격 나선 전주시는 지난 5월 10일 감독 공개모집 채용공고를 냈지만 공고가 나가자마자 ‘초·중·고’가 빠진 것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는 민원이 접수됐다는 이유로 내부 논의를 통해 결국 공모 글을 삭제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모집공고는 다음날 바로 삭제됐다. 

"시민들 의견은 안중에도 없나?" 

이와 관련 전주시 관계자는 “초·중·고를 제외하면서 발생한 민원으로 인해 결국 공모를 취소했고 감독 선임 절차를 중단했다”면서 “내부 회의에서도 보다 많은 사람이 감독 공모에 참가할 수 있도록 문호를 넓힌 뒤 인사위에서 적절한 사람을 고르는 게 최선이라는 결론을 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우여곡절 끝에 통과한 관련 조례를 다시 개정해야 하는 문제가 야기되면서 이를 놓고 집행부와 의회 간 갈등과 마찰이 불 보듯 뻔히 예상된다. 게다가 일련의 과정에서 "시민들 의견은 안중에도 없었다"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박주현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