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이슈

전북지역 환경단체들이 국민연금이 2년 전 '탈석탄 선언'을 하고도 석탄 화력발전 관계사 등에 투자를 이어오고 있다며 약속 이행과 함께 방향 전환을 촉구했다.
전북환경운동연합 등 17개 기후위기 관련 단체들은 24일 국민연금공단 앞에서 기자회견과 연기대상을 수여하는 퍼포먼스를 열고 “939조의 막대한 자금을 굴리는 국민연금이 기후 변화 극복에 동참하겠다며 2년 전 석탄 채굴과 발전 사업에 대한 투자를 제한하겠다는, 이른바 탈석탄 선언을 내놓았지만 아직까지 구체적 실천이 없다”며 “말 따로 행동 따로인 국민연금은 '연기대상'감으로 손색이 없다”고 지적한 뒤 적극적인 후속 조치를 촉구했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국민연금이 석탄 투자 배제 연구 용역 보고서를 받고도 개선안 의결을 미룬 채 석탄 발전 비중이 높은 한전 지분을 대규모로 매입했다"며 "석탄 자산 규모가 최대 1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민연금은 탈석탄 선언을 이행할 것”을 거듭 요구했다.
"국민의 과거도 미래도 석탄발전에 저당 잡힌 형국"
이날 참가자들은 “국민연금이 2년 전 탈석탄 선언을 하고도 구체적인 이행계획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며 “하루빨리 후속 조치에 나서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박일진 기후위기완주행동 대표는 이날 “국민의 노후를 책임질 국민연금이 지난 40년간 국민의 건강을 위협해 오고 있는 석탄발전에 대한 투자를 멈추지 않고 있다”며 “이는 국민의 과거도 미래도 석탄발전에 저당이 잡혀있는 형국이나 마찬가지"라고 비판했다.
한편 지난해 10월 말 기준 국민연금의 석탄발전 분야 투자액이 5조 5,0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국민연금공단은 올해까지 의견 수렴 등을 거친 뒤 기금운용위원회가 구체적인 투자 배제 이행 계획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경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