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승종의 역사칼럼
개국 초기였던 정종(定宗, 재위 1398-1400) 때 일이었다. 참판삼군부사(參判三軍府事) 최운해(崔雲海, 1347-1404)와 예문관학사(藝文館學士) 송제대(宋齊岱, 미상)는 중국 명나라의 수도 남경(南京)에 사신으로 다녀오는 길이었다. 그들은 귀로에 지나는 고을마다 융숭한 접대를 받았다. 그러나 경기도 서원군(현 파주)에 도착했을 때 접대가 기대에 못 미쳤다. 그러자 사신 일행은 군수(郡守) 박희무(朴希茂, 미상)를 심하게 때렸다.
권세에 아부하지 말라
군수 박희무는 분노를 참지 못해 사신들을 사헌부에 고발했다. 진상조사에 착수한 사헌부는 최운해와 송제대의 잘못을 관대하게 처리하자고 주장했다. 최운해로 말하면, 고려말 조선 초기에 왜구의 토벌에 공이 많아 이름 높은 장수였기 때문이다. 훗날 세종 때 북방에 여진족을 몰아내고 ‘4군’을 개척한 최윤덕(崔潤德, 1376-1445) 장군은 바로 최운해의 아들이었다. 최씨 부자는 이름난 명신이었지만, 그건 다른 이야기이다. 최운해는 하급관원을 폭행한 죄로 일단 경기도 음죽(현 이천)으로 유배되었다.
그러나 송제대는 무사했다. 당시 조정의 실권자인 세제(世弟) 이방원(태종)과 특수 관계라는 점이 작용하였다. 송제대는 이방원의 처외삼촌이었던 것이다. 이방원의 장인은 민제(閔霽, 1339-1408)였고, 장모가 바로 송씨였다. 송제대는 송씨 부인의 오빠였으니, 권력의 추이를 예의주시하던 사헌부 관리들은 이방원의 눈치를 살피느라 사실을 왜곡하였다.
그래도 문하부(門下府, 사간원의 전신)만은 눈치를 보지 않았다. 그들은 사헌부의 복지안동(伏地眼動, 눈치만 힐끔힐끔 살피는 태도)하는 용서하지 않았다. 문하부는 사헌부의 동료들을 비판하며 권세에 아부하지 말라고 소리쳤다. 다들 이방원의 태도에 주목하였다. 속마음이야 어찌되었든 이방원은 조정의 기강을 무너뜨리면 곤란하다고 판단하였다. 능수능란한 정치가 이방원이었다. ‘그래도 조정에 쓸 만한 사람이 있다’라며 이방원은 껄껄 웃더니, 송제대와 최운해 두 사람을 모두 귀양보냈다.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사실이다.
이방원은 사적인 친소관계보다 국가 기강을 중시했다고 본다. 왕이 된 다음에, 태종 이방원은 공적 기강을 바로잡는데 여느 왕들보다 훨씬 진지하고 성실한 태도를 보였다. 지위의 고하를 막론하고, 태종은 관리의 비리와 월권행위를 막으려고 애썼다. 태종이 나랏일에 혼신의 힘을 쏟은 덕분에 세종과 같은 현군(賢君)이 등장할 수 있었다고 보아도 좋겠다.
희망이란 주인 된 사람의 의무
사회기강이 무너지는 것은 시간문제다. 야당 대표 이재명 씨에 대한 윤석열 정부의 탄압은 도를 넘어도 한참 넘었다. 논리의 힘이 아니라, 권력의 힘을 동원해 모든 문제를 멋대로 풀어보려고 한다. 일본과의 문제도 그러하고, 노동시간에 관해서도, 다른 모든 사안에 대해서도 시민과 아무런 교감도 없이 물리적 힘으로 몰아붙이는 데만 익숙하다.
자신의 가까운 사람들이 투기나 불법으로 떼돈을 벌어도 그것은 늘 '정상적 거래'라고 강변한다. 그러나 반대편이 어느 무명 대학으로부터 표창장이라도 한 장 받았다면 이야기는 완전히 달라진다. 백번을 압수 수색하여서라도 기어이 희대의 비리 사건으로 둔갑시키고 만다.
역사에 완성은 아마 없을 것이다. 우리는 지난 세월 동안에도 멀고 힘든 길을 헤치고 여기까지 왔으나, 오늘은 더욱 어둡고 씁쓸한 날이 되었다. 그래도 역사의 짐을 우리 두 어깨에 더맨 채 조금씩 앞으로 걸어나가는 것밖에 무슨 다른 수가 있을까. 시민 모두가 눈을 뜰 때까지 우리는 곧장 나아갈 수 있는 길을 돌고 또 돌아서 가는 것이다.
젖과 꿀이 흐른다는 낙원을 코앞에 두고도 한참 세월을 보내야 했다는 고대 유대인의 이야기가 남의 일 같지 않다. 헐리우드 영화 속에서처럼 모든 일이 ‘해피엔딩’으로 끝나란 법은 없으나, 우리는 복된 소망 속에서 이 어둠과 싸우고 또 싸울 것이다. 희망이란 주인 된 사람의 의무이기 때문이다.
/백승종 객원논설위원(역사학자, 전 서강대 사학과 교수)

그러나 꼼꼼하게 읽어보면 정곡이 없는 기사들이 대부분이다.
너무 반정부 성향에 치우치지 않았는지. 정부가 발끈할 약점을 찌르지는 않았는지.
기계적 중립은 지켰는지. 검찰이 득세하는 시대적 트렌드를 거스르지는 않았는지.
검찰 독재 시대를 맞이해 책잡힐 일을 피하려고 기자들이 좌고우면한 흔적만 역력하다.
그 기자들은 분명 시민의 편이 아니다. 윤석열 시대를 규탄하는 시민들의 편은 더더욱 아니다.
검찰이 무슨 횡포를 휘두르든 자신들의 일상에만 파묻힐 구경꾼들일 뿐이다.
엄벌주의를 장난감처럼 휘두르는 검찰들이 약자들 사이의 교감까지 끊어놓았으니 개탄할 일이다.
다행히 백승종님의 글에서 요즘은 흔치 않게 된 교감의 맥락을 발견했다. 잘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