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구의 '생각 줍기'

음력으로 따져야 정확하겠지만 해가 바뀌니 많은 언론에서 벌써부터 2023년은 계묘년(癸卯年)으로 토끼의 해라는 소식들을 전하고 있습니다. 계묘년은 육십 간지의 40번째에 해당되는 해로 ‘계(癸)’는 흑색을, ‘묘(卯)’는 토끼를 의미하고 있어 올해는 “검은 토끼띠(흑묘)”의 해입니다.

그래서 저도 토끼에 대한 자료들을 찾아봤습니다. 토끼란 동물은 외모로 보면 나약해 보이지만 귀엽게 생겼고, 성격으로 봐도 꾀가 많고 영민한 동물로 사람들에게 친근한 이미지로 사랑을 많이 받는 동물입니다. 우리 역사에서 보면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에 기록된 ‘구토설화(龜兎說話)’에는 토끼가 거북의 꾐에 속아 용궁으로 끌려가 간을 뽑힐 처치에서, 번뜩이는 기지로 절체절명의 순간을 극적으로 살아온다는 내용이 실려 있습니다.

동아시아 신화에서 보면 토끼는 ‘옥토끼’로도 유명합니다. 옥토끼는 달 속에 산다는 전설상의 토끼로 달에서 절구로 떡방아를 찧으며 천년을 산다는 영물로 알려졌습니다. 옥토끼에 대한 전설이 내려오면서 옥토끼가 죽지 않고 장수하는 불사를 상징하는 동물로 알려지면서 토끼간은 수궁가 별주부전에서 만병통치약으로 소개되기도 합니다.

그런가 하면 일부 부정적인 이미지도 있는 거 같습니다. 영남지방에서는 “묘생(卯生)은 사나운 운세를 갖고 있다”고 전해 내려오고 있으며, 우리말 ‘토끼다’라는 말이 ‘도망치다’는 의미를 갖는 것도 토끼의 발 빠른 행동을 빗대어 만들어낸 말이 아닌가 싶습니다.

불가의 경전에서 보면 토끼는 나무 위에서 열매 떨어지는 소리를 듣고 놀라 세상이 무너지고 있는 것으로 착각하며 허둥대는 겁쟁이로 경전에서는 토끼를 어리석은 중생들의 모습으로 그리고 있는가 하면, 부처님의 전생 이야기가 담긴 ‘본생경(本生經)’이란 경전에서는 화톳불을 피운 뒤 자신의 몸을 던져 나그네에게 보시하는 헌신적인 존재로 등장하기도 합니다.

또한 토끼라는 동물에 대하여 우리말 지역별 방언을 보면 50개가 넘을 정도로 지역마다 부르는 이름도 다양합니다. 

되끼(전북 부안), 태기(경남 진주), 태까이(경남 사천), 태깨이(전남 화순), 택깨이(전남 진도), 테끼(충남 홍성), 텍기(황해도 연안), 토까니(경남 하동), 토까리(경남 거창), 토깐(경남 영양), 토깡(경북 경주), 토깨이(경북 청송), 토께이(경북 왜관), 토꽝이(평북 염주), 토꾸(경북 안동), 토낑이(경남 울산), 퇘끼(전북 이리), 퇴께(제주 서귀포), 퇴끼(강원 옥계), 퇵캥이(충남 아산), 퉤깽이(평남 문덕), 튀끼(평남 평양), 티까이(경남 사천), 토강이(경남 양산), 통깡이(경남 동래), 테까니(경남 남해), 퇴깽이(전북 임실) 등 참으로 다양한 방언을 갖고 있습니다.

2022 임인년은 계속된 코로나 전염병과 우크라이나 전쟁, 자연재해 등으로 전 세계가 참으로 다사다난한 해였던 것 같습니다. 2023 계묘년은 영민하고 지혜로운 토끼의 기운을 받아 경제, 사회, 문화 등 우리나라 전 분야에서 걸쳐 대한민국이 다시 껑충 뛰어오르는 한 해가 되길 기대해 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글·사진: 이화구(CPA 국제공인회계사·임실문협회원)

                                    

저작권자 © 전북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