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발됐던 '전주‧완주 상생협력사업' 한달 만에 재추진, “행정 통합과는 무관” 선긋기...왜?

[뉴스 큐레이션] 2022년 11월 15일

2022-11-15     박주현 기자

지난달 말 추진하기로 했다가 불발됐던 ‘전주·완주 상생협력사업 추진협약’이 가까스로 한 달여 만에 성사됐다. 하지만 ‘행정 통합 공론화는 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이뤄진 ‘상생협력’이란 점에서 ‘전시성 행정’이란 지적이 나온다. 

14일 김관영 전북도지사와 우범기 전주시장, 유희태 완주군수는 전북도청에서 만나 ‘전주·완주 상생협력사업 추진협약’을 맺고 양측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면서 두 지역의 동반 성장도 견인할 수 있는 상생사업을 공동 발굴해 추진하는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주민생활 실질적 도움, 상생발전 사업 발굴하는데 속도” 

전북도청 회의실에서 14일 오전 '전주-완주 상생협력사업 협약식'이 열린 가운데 김관영 도지사와 우범기 전주시장, 유희태 완주군수가 협력을 다짐하고 있다.(사진=전북도 제공)

지난달 예정됐다 무산된 '상생협력사업 추진 협약'을 전북도의 중재로 이뤄진 이날 협약식에서 양 지역은 우선 ‘전주·완주 수소경제 중심도시 도약 협력사업'과 '완주·전주 상생 상관저수지 힐링공원 조성사업' 등 2개 사업을 상생협력사업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 사업을 계기로 양 지역은 경제, 교통, 문화, 복지, 교육 등 지역 주민의 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상생발전할 수 있는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는데 속도를 내기로 했다. 양 지역 공동사업 중 ’수소경제 중심도시 도약 협력사업‘은 수소도시 추진전략 수립을 비롯해 수소 충전소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과 완주 수소 특화 국가산단 지정 등을 통해 미래산업을 공동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상관저수지는 완주군에 펼쳐져 있지만 그 소유자는 전주시란 점에서 ‘상관저수지 힐링공원 조성사업’을 통해 전주 한옥마을과 완주 구이면, 소양면 일대를 잇는 관광산업 발전을 함께 이뤄나간다는 계획이다. 

김관영 도지사는 “이번 상생협약은 오로지 전주시민과 완주군민 그리고 전라북도 발전을 위해 양 지역이 아무 조건 없이 손을 맞잡고 소통과 협치의 첫 발걸음을 떼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며 “본 사업은 전주시와 완주군간 행정통합을 전제로 한 게 아니며, 상생협력과 공동발전, 신뢰 축적을 통해 서로 윈윈하고 모두 잘 사는 게 목적이란 점을 이해해줬으면 한다”고 선을 그었다.

“행정통합부터 앞세운다면 완주군민 납득할 수 없을 것” 경계

KBS전주총국 11월 14일 뉴스 화면(캡처)

유희태 완주군수도 “행정통합부터 앞세운다면 완주군민이 납득할 수 없을 것”이라고 전제한 뒤 “이번 상생협약은 말 그대로 전북과 완주 발전을 위해 협력사업이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한 것 뿐”이라며 “양 지역 협력사업들이 잘 된다면 완주군민의 마음도 열릴 것”이라고 경계했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이번 상생협약을 계기로 시민 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분야에서 완주군과 적극 협력하고 상생 방안을 찾아 하나씩 차근차근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달 말 전북도·전주시와 상생협력사업을 협약할 예정이던 완주군은 “행정 통합을 추진하는 것처럼 왜곡되고 있다”며 협약식을 나흘 앞둔 27일 전격 취소해 통합 열기가 한껏 달아오른 전주시와는 다른 모습을 내비쳤다. 

당시 완주군은 "주민의 복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완주의 진정성과 순수성은 사라지고 행정통합으로 가려는 수순이라는 왜곡과 변질만 난무하고 있어 부득이하게 31일 협약식을 취소했다"고 부연했다.

한편, 양 지역 행정구역 통합은 1997년과 2009년에 이어 2013년까지 세 차례 논의가 본격화됐으나 연거푸 무산되고 말았다. 1997년에는 완주군의회의 반대로 무산됐고, 2009년에는 완주지역 국회의원과 지방의원 등 지역 정치권이 반대하면서 무산됐다. 이어 2013년에는 분위기가 무르익었으나 완주군민을 대상으로 진행한 통합 투표에서 반대 55.4%, 찬성 44.4%로 무산됐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