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고 돌아 다시 롯데, 전주종합경기장 개발 신중해야...지역 언론들 편들기식 보도 문제"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논평' 발표

2022-11-14     박주현 기자

민선 8기 출범 이후 전주시가 전주종합경기장의 '시민의 숲' 재생사업 대신 '대규모 전시컨벤션'으로 개발 방향을 바꾸기로 하자 시민사회단체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해당 기사] 

환경단체 “롯데에 의한 롯데를 위한 전주종합경기장 개발 계획 중단하라”...왜? 

전임 시장 추진 계획 8개월 만에 바꾼 '우범기표 전주종합경기장 개발안'...시민 공론 배제·예산 낭비 '논란' 

전북환경운동연합에 이어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는 14일 논평을 내고 "전주시가 전주종합경기장 내 2만 5,000㎡로 계획한 컨벤션센터 부지를 5만㎡으로 확대하기로 하고, 컨벤션센터 건립에 3,000억원과 부지조성비로 500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이에 대해 지역 언론은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이지만 우려되는 사항에 대한 검토가 없는 편들기식 보도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컨벤션센터 규모 확대하려면 롯데와 협상에서 그만큼의 대가 지불해야"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가 14일 발표한 논평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는 이날 '돌고 돌아 다시 롯데, 전주종합경기장 개발에 신중해야 한다'는 제목의 논평에서 "컨벤션센터의 규모를 확대하려면 롯데와의 협상에서 그만큼의 대가를 지불해야한다"며 "예상컨대 롯데는 종합경기장 부지의 일부를 달라고 요구하거나 백화점 규모 확대를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결국 송하진 시장이 추진했던 ‘기부 대 양여’ 방식보다 더욱 후퇴한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밝힌 논평은 "컨벤션센터에 3,000억원을 투자하고 대규모 호텔까지 건립해야하는 롯데가 손해 볼 협상을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그동안 우려했던 대로 ‘시민의 땅’을 재벌에게 내어주고 지역상권의 몰락을 가져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논평은 "우범기 전주시장이 전주종합경기장과 옛 대한방직 부지 개발에 적극적이지만 개발에 따른 지역상권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이 보이지 않는다"며 "자광이 계획하고 있는 컨벤션센터와 호텔, 상업 시설이 종합경기장 개발과 중복되어 있다는 점도 풀어야 할 숙제"라고 지적했다. 

"일부 지역 언론, 마치 ‘불필요한 논쟁’ 취급하는 것은 문제" 

전주종합경기장 내에 조성할 예정으로 지난 3월 착공한 '정원의 숲' 조감도(전주시 제공)

아울러 "우범기 전주시장은 전주종합경기장 개발에 신중을 기해야한다"고 강조한 논평은 "컨벤션센터의 규모가 커질수록 운영적자도 커진다. 컨벤션센터 운영은 위탁이 불가피하고 운영 적자의 보존은 전주시의 몫이 될 것"이라며 "겉으로는 전임 시장이 해결하지 못한 사업을 과감하게 추진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마지막 남은 대규모 공공부지를 재벌에게 내어주고 전주시 재정이 압박당하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고 꼬집었다. 

논평은 이밖에 "이러한 이유로 ‘옛 대한방직부지관련 시민공론화위원회’에서는 자광이 제안한 컨벤션센터 등 중복시설을 감안하여 종합경기장과 옛 대한방직 부지개발을 진행해야한다는 시민 의견이 있었다는 것을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면서 "이처럼 개발에 따른 우려와 점검해야 할 사항이 있음에도 이에 대해 일부 지역 언론이 마치 ‘불필요한 논쟁’ 취급하는 것은 문제"라고 비판했다. 

또 논평은 말미에서 "비판도 지역발전을 위한 마음에서 나온다"며 "지방정부가 낙후와 소외 정서를 팔아 무리한 개발사업을 벌이는 것에 눈감아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앞서 전북환경운동연합도 11일 이와 관련 성명을 내고 “우범기 전주시장의 종합경기장 개발 계획은 시민의 기억이 담긴 공간을 시민에게 돌려주고 쇼핑몰 규모를 줄여 지역상권을 보호한다는 시민 합의에서 크게 벗어난다”고 비판했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성명에서 “오랜 기간 사회적 합의 과정을 거쳐 수립된 1963 시민의 숲 조성 계획을 사실상 폐기하는 것은 다시 롯데쇼핑에게 개발의 칼자루를 넘겨주는 계획이 될 수 있고, 중앙정부의 투융자 심사를 다시 받거나 시 재정사업 추진을 위해 확보한 국가 예산 반납 가능성도 있다는 점에서 종합경기장 개발계획 변경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