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영 지사 ‘막강 정무 라인' 인사들, 도의회 “있으나 마나” “붕괴” 질타...왜?

[뉴스 큐레이션] 2022년 11월 10일

2022-11-10     박주현 기자

강대강 대치 국면을 이어가고 있는 전북도의회와 전북도의 완충 및 소통 역할을 수행해야 할 '정무 라인' 부재가 다시 도마에 올랐다. 특히 김관영 도지사가 민선 8기 출범 이후 '파격적인 인사'라며 자랑했던 '정무 인사'가 제 기능과 역할을 해내지 못하고 있다는 따가운 비판이 쏟아져 나왔다. 

전북도의회는 9일 전북도 정무 라인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정무 라인이 붕괴했다", "있으나 마나한 정무 라인”이라며 질타를 쏟아냈다.  

김광수 정무수석 “임명권자 권한, 책임도 임명권자 지는 것” 원론적 답변 

KBS전주총국 11월 9일 뉴스 화면(캡처)

이날 서난이 도의원(더불어민주당·전주9)이 총대를 메고 나섰다. 서 의원은 먼저 김광수 전북도 정무수석을 향해 “도의회와 도청의 관계가 파행을 빚고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냐”며 “전북도와 도의회 사이 협치가 파행을 빚고 있는 사태에 대한 책임”을 물었다. 

이에 대해 김 정무수석은 “대단히 유감이다”며 “임명권자의 권한까지 넘어설 수 없는 게 인사청문회의 한계”라고 답한 뒤 “가교 역할을 못했던 부분에 대해 죄송스럽게 생각하고 이제 어떻게 풀어갈 것에 대해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김 정무수석은 또 “부동산 투기 의혹이 있는 서경석 전북개발공사 사장을 자진 사퇴 쪽으로 설득할 생각이 있냐”는 질문에 “임명권자의 권한이고 그 책임도 임명권자가 지는 것”이라고 답해 사실상 '임명 철회는 불가하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박성태 정책협력관 너무 편협적...정무 라인 붕괴" 쓴소리 쏟아져 

이날 김 정무수석에 이어 박성태 전북도 정책협력관에게도 불화살이 쏟아졌다. 서 의원은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대치하는 상황에서 협치를 이야기하고 있다"며 "도민의 반감이 큰 상황에서 정책협력관의 전반적인 활동이 국민의힘 활동인데 너무 편협적"이라고 추궁했다. 

이에 박 정책협력관은 "제 역할은 국민의힘과의 가교 역할이라고 생각하고 민주당 정치권은 잘 모른다"며 "국민의힘 동행 의원을 비롯해 지역 의원들과 잘 소통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자 서 의원은 "국민의힘 의원만 협치를 하겠다고 이해해도 되겠냐"면서 "김관영 전북지사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이다. 그런데 그렇게 말하면 되겠냐"며 쏘아붙였다. 한발 더 나아가 서 의원은 "협치, 소통, 상생 등 이런 단어를 쓰면 국민의힘 뿐만 아니라 제1야당과도 협치하는게 맞다"고 질타했다.

협치·소통 위해 정무부지사, 정무수석, 정책협력관 발탁...평가는 ‘미흡’

7월 29일 전북도청 회의실에서 김관영 도지사가 박성태 정책보좌관에게 임용장을 수여하고 있다.(사진=전북도 제공)

이에 대해 박 정책협력관은 "국민의힘과의 가교 역할과 소통에 충실하겠다"고 원론적인 입장에서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해 더욱 따가운 눈총을 받았다. 박 협력관은 전 국민의힘 전주시병 당협협의회 운영위원장 출신으로 김관영 도지사가 지난 7월 29일 여야 협치 차원에서 영입한 인사다. 

앞서 김관영 지사는 당선인 시절인 지난 6월 15일 민선 8기 첫 정무부지사로 김종훈 전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을 지명하고 또 정무특보에는 김광수 전 국회의원을 임명해 세간의 관심을 끌었었다. 김 지사는 당시 절차를 거쳐 정무특보 명칭을 정무수석으로 변경할 계획이라고도 밝혔지만 일부 도의원들은 싸늘한 반응을 보였다. 

김 지사는 당시 전북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앞으로 모든 인사의 기준은 공직자로서의 도덕성과 전문성, 전북의 미래를 함께 열어갈 동반자 관계"라면서 "전북 발전에 필요한 인재라면 출신과 친소관계를 넘어서 적재적소의 원칙에 따라 전북도정에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전북개발공사 사장 임명을 놓고 전북도와 도의회가 갈등 속에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고 있지만 정작 정무 라인 인사들은 기대와 달리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