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르밀 사태’ 전북 정치권 ‘나 몰라라’ 빈축...타 지역 정치권 ‘관심’ 대조
뉴스 초점
사업 종료 선언, 전원 해고 통보, 재매각 추진, 노사 협상 불발....
유제품 전문기업인 푸르밀이 임실지역에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공장을 두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사업 종료’ 선언 이후 매각을 추진하면서 지역 사회는 물론 경제계에 상당한 파장과 후유증이 일고 있다.
특히 많은 국내 언론들이 푸르밀 사태를 앞다퉈 보도하면서 문제의 심각성과 지역 사회와 경제에 미칠 파장 등을 연일 보도하고 있지만 정작 지역 정치권은 나 몰라라 하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급기야 최근에는 푸르밀이 ‘법인 청산’ 쪽으로 기울면서 집단 해고와 낙농가들의 줄도산 우려가 점점 현실로 다가오고 있음에도 지역 정치권과 지자체 등은 뒷짐만 지고 있다는 볼멘소리가 높다.
"타 지역 국회의원들 관심...전북 정치권은 ‘뒷짐’만"
KBS전주총국은 8일 ‘푸르밀 사태’…전북 정치권 뭐 했나?‘의 기사에서 프르밀 사태에 무관심을 보이고 있는 지역 정치권을 비판했다. 기사는 “지난달 20일 열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국정감사 사례를 들었다.
기사는 "김승남 민주당 국회의원(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은 ’하루 아침에 전 직원 400명이 해고되고 낙농가들 날벼락을 맞았는데, 장관은 이를 파악하고 있느냐‘고 국정감사에서 질타했다”며 “푸르밀의 도산 위기를 장관에게 꺼낸 김 의원의 지역구는 '전남”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기사는 “안호영, 윤준병, 이원택 의원 등 농해수위 소속 전북의원이 세 명이나 되지만, 이들 의원에게 푸르밀 문제는 관심 밖이었다”면서 “이후 두 차례 더 열린 상임위에서도 '푸르밀'을 언급한 지역 국회의원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또한 “고용노동부 국감에서 집단해고 위기를 지적하고 ’끝까지 챙겨보겠다‘는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의 답변을 끌어낸 것도 전북과는 거리가 먼 다른 국회의원이었다”며 “두 장관의 공식 답변이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 따져 묻는 것도 국회 역할이지만 전북의원들은 '강 건너 불구경'하듯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전북 현안·민생 해결에 민주당 전북도당 손 놓아”
아울러 “임실지역 낙농가와 공장 노동자, 화물차 기사, 전국 대리점, 여기에 가족까지 고려하면 수천여 명이 생계 위기에 놓여 있지만, 지역 정치권의 현실 인식은 너무도 안일하다”고 지적한 기사는 “임실군의회가 특위를 만들고, 전북도의장과 면담도 했지만 이렇다 할 대응책은 아직 없다”면서 “지지 기반인 전북의 현안과 민생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할 민주당 전북도당도 손을 놓고 있기는 마찬가지”라고 꼬집었다.
이상옥 푸르밀 낙농가 비상대책위 회장은 이날 방송과 인터뷰에서 "총리하고 전라북도 고향인 국회의원들, 민주당 국회의원들하고 노력 좀 해달라고, 제발 좀 부탁한다고 협조문을 보냈어요. 입이 쓰네요, 입이 써"라고 밝힐 정도다. 이날 방송은 기사 말미에서 “몇 해 전 한국지엠 군산공장과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문 닫는 모습을 무력하게 바라봐야 했던 전북 정치권이 발 벗고 나서는 이 하나 없는 오늘은 책임 의식을 상실한 지역 정치의 현실을 엿보게 한다”고 힐난했다.
한편 푸르밀 사업 중단으로 임실군 신평면에 소재한 푸르밀 전주공장에서 일하는 150여명은 일자리를 잃게 됐다. 여기에 전북지역 낙농가 25곳도 원유 납품 권리와 시설비 등 200억원이 넘는 손해를 볼 것으로 추산된다. 또한 500곳이 넘는 전국 대리점과 화물차 기사 140여명 등 모두 1,000여명의 생계가 달린 문제라는 점에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