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개발공사 사장 후보 '호남인 비하 발언' 논란, 인사청문 '무산'...김관영 지사 인사 난맥 '도마 위‘

[뉴스 큐레이션] 2022년 11월 1일

2022-11-01     박주현 기자

전북도 산하 공기업인 전북개발공사 사장 후보자에 대한 전북도의회 인사청문회 파행으로 김관영 도지사의 인사 난맥상이 또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특히 전북도의회가 31일 공석 중인 전북개발공사 서경석(65) 사장 후보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사청문회가 파행으로 무산되면서 민선 8기 전북도의 정실인사 논란이 다시 가열되는 분위기다. 

자질·전문성·준비부족 등 이유 청문회 무산... 2019년 인사청문제 도입 후 처음 

전북도의회는 31일 서경석 전북개발공사 사장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실시했으나 중도에 무산되는 파행을 겪었다.(사진=전북도의회 제공)

이날 이병도 전북도의회 청문위원장(문화건설안전위원장)과 위원들은 인사청문회 시작 7시간여 만인 오후 5시쯤 '전북개발공사 사장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경과 보고서를 채택하지 않겠다'고 결의한 채 청문회를 종료했다. 

그동안 ‘맹탕’, ‘용두사미’란 지적을 받아 왔던 전북도의회 인사청문회가 모처럼 날을 세우며 자격 검증에 나선 가운데 그동안 전북도가 공모 등을 거쳐 내정한 전북개발공사 사장 후보자는 업무능력, 전문성, 자질, 준비성 등이 모두 부족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로써 민선 8기 두 번째 인사청문 경과 보고서 채택이 무산되는 사태를 맞았다. 

도의회가 인사청문 경과 보고서를 채택하지 않은 것은 2019년 인사청문제 도입 이후 처음이다. 이날 전북도의회 운영위원회 사무실에서 열린 인사청문회는 소관 상임위원회인 문화건설안전위원회 의원 8명과 도의장 추천의원 4명(김성수, 박용근, 김희수, 진형석 의원) 등 인사청문위원 12명이 참석했다. 

그러나 이날 인사청문회는 서 후보자의 업무능력 검증단계에서 정지돼 도덕성 검증은 아예 이뤄지지 않은 채 중단되는 소동을 빚었다. 더욱이 이날 오전에 진행된 업무능력 검증 과정에서도 많은 문제점들이 제기됐다. 

도덕성 검증 필요 자료 제출 요구에 거부...파행 

업무능력 검증 과정에서도 서 후보자는 제대로 답변을 내놓지 못해 지적을 많이 받았다. 이날 도의회 청문위원들은 “전북개발공사 사업과 관련해 정부 정책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하는 등 준비성이 부족하다”는 지적과 함께 “전북개발공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이나 대안을 갖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는 등의 부정적 의견을 잇따라 제기했다. 

이처럼 업무능력에 대한 의구심들이 잇따라 쏟아진 가운데 부동산 구입 관련 자료와 금융거래 내역, 국·지방세 납부현황 등 도덕성 검증을 위해 필요한 자료 제출에 대해 서 후보자가 일부 자료를 거부하면서 인사청문회가 중도에 무산된 사태가 발생했다. 

이날 이수진(국민의힘·비례대표) 의원은 "후보자가 5년간 금융거래 정보와 직계존비속 재산 내용 등의 자료 제출을 거부했다"면서 "전북개발공사 사장으로서 부적격하다"고 유감을 표했다. 또 박용근(더불어민주당·장수)·김성수(더불어민주당·고창1) 위원 등도 "서 후보자가 도덕성 검증에 필요한 자료를 제대로 내놓지 않고 있다"며 항의했다.

이에 이날 서 후보자는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최소한의 정보를 제공했다"고 해명했으나 인사청문회장에서 자질 부족과 준비성 미흡 등으로 연신 질타를 받았다. 

"호남인은 하층민" 비하 발언 논란 

전주MBC 10월 31일 뉴스 화면(캡처)

게다가 이날 전북개발공사 사장 후보자에 대한 적격성 논란에서 서 후보자는 서울에 진출한 호남 출신 사람들을 하층민으로 지칭하는 발언으로 논란을 빚기도 했다.

이날 도의회 인사청문회가 끝난 후 전주MBC는 관련 보도에서 ”광주 출신으로 전북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진다는 지적과 관련해 서 후보자는 호남인들을 하층민으로 비유하며, 광주 중심의 사고방식을 드러내 논란을 자처했다“고 지적하면서 서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답변 발언을 들려주었다. 

서 후보자는 이날 "서울에 가니까 (호남 사람들이) 깡패, 사기꾼, 다방 종업원, 구두닦이, 전부 하층민들이었다”며 “광주사람들에게 누를 끼치지 않도록 전북에서 열심히 해보겠다"고 발언했다. 

”이에 대해 (청문)위원들이 저소득층의 주거안정 사업을 벌여야 하는 개발공사 사장의 인식 수준에 강한 비판을 이어갔다“는 기사는 이수진 도의원의 발언을 인용해 "임대주택을 지어야 될 기관의 장이 하층민이라는 표현을 썼다. 그러면 후보자가 보기에 임대주택 사는 분들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내용을 부각시켰다. 

또한 방송은 기사에서 “상당수 (청문)위원들은 서 후보자의 경영계획이 나열식이고 피상적이어서 어떻게 사장으로 추천을 받았는지조차 의문이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강조했다. 

위원장 “준비 부족, 전문성 결여, 자료 제출 거부 등으로 경과 보고서 채택 절차 진행하지 않기로 결정” 

이처럼 ‘무용론’ 비판을 받아온 전북도의회 인사청문회가 ‘후보자의 비협조적’이란 이유 등으로 중단되는 파행 속에 임명 여부는 김 지시에게 다시 고스란히 넘어가게 됐다.

당초 도의회는 인사청문위에서 업무능력과 도덕성 검증을 거쳐 별다른 문제가 없으면 하루 지나 경과 보고서를 채택해 최종 인사권자인 김 지사에게 전달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청문 보고서 채택이 무산됨에 따라 김 지사의 부담이 커지게 됐다. 임명을 강행할 경우 적지 않은 파행이 예상된다.

이날 도의회 인사청문위원장을 맡은 이병도(더불어민주당·전주3) 의원은 “ 최근 인사청문제도에 대한 실효성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어 위원장으로써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며 “그러나 서 후보자의 청문회 준비 부족과 전문성 결여, 자료 제출 거부 등으로 경과 보고서 채택 절차를 진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서경덕 전북개발공사 사장 내정자는 과거 경력이 전북개발공사의 고유 업무들과는 거리감이 있다는 점에서 적합성 여부 논란이 제기돼 왔다. 

전문성, 전북 이해도 부족 등 지적 불구 청문 요청 강행...선택 다시 김 지사에게 

전주MBC 10월 31일 뉴스 화면(캡처)

특히 전북도는 지난달 전북개발공사 임원추천위원회가 추천한 인사 중 서 내정자에 대해 인사청문을 요청했으나 업무의 적격성 논란과 함께 김 지사가 도지사로 당선된 이후 진행한 일련의 인사가 정실인사라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됐었다. 

더구나 전북개발공사의 주요 업무와 사업들이 택지개발, 주택건설, 산업단지, 관광·레저, 대행사업, 신재생에너지 분야인데 반해 서 내정자의 경력은 주로 자동차 회사에서 오래 근무한 경력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여기에 '전북에 대한 이해도 부족'은 전북문화관광재단 대표이사에 대한 전북도의회의 민선 8기 첫 인사청문회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닮은 꼴이란 지적을 받아왔다. 

하지만 선택의 공은 이제 김 지사에게 넘어갔다. 내정을 철회하고 다시 공모 절차를 거쳐 선발할지, 도의회 인사청문회를 무시하고 임명을 강행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이유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