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장·자광 대표 공식 회동 '논란'..."옛 대한방직부지 행정 절차 앞두고 부적절"
[뉴스 큐레이션] 2022년 8월 18일
우범기 전주시장과 전은수 ㈜자광 회장이 17일 전주시장실에서 만나 옛 대한방직부지 개발 사업을 논의한 것과 관련해 적절성 논란이 일고 있다.
이날 우 시장은 민선 7기 동안 전주시 현안 중 가장 뜨거운 감자였던 옛 대한방직부지 개발과 관련해 부지 소유주인 (주)자광의 회장과 직접 만나 공식 회동을 가졌다.
한 시간 넘게 이어진 이날 만남은 언론에 공개된 시간은 5분여 남짓으로 이후 비공개로 진행됐으며, 자광은 각종 자료 등을 준비해 사업현황과 기대효과 등을 우 시장에게 브리핑 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역 일간지들 “옛 대한방직부지 개발 새 물꼬...이번이 처음” 의미 부여
전주시는 이날 ‘전주시-자광, 대한방직부지 개발 논의 시작’이란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해 시장과 개발업체 대표와의 만남에 큰 의미를 부여했다.
이에 대부분 지역 일간지들은 18일 관련 기사를 내보내고 “현직 전주시장과 ㈜자광 대표가 만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강조하면서 “이번 면담은 옛 대한방직부지 개발 논의를 투명하게 진행한다는 우 시장의 지론에 따라 공개적으로 이뤄졌다”고 긍정적인 측면을 부각시켰다.
또한 “우범기 시장과 전은수 회장은 이날 옛 대한방직부지 내 타워와 쇼핑센터 건립 등을 통해 전주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하고 지역 경제를 살리자는 내용으로 발전적인 대화를 나눴다”고 강조한 기사도 눈에 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KBS전주총국과 전주MBC는 다른 시각으로 보도해 주목을 끌었다.
“행정 절차 앞서 이뤄진 면담...적절성 논란”
KBS전주총국은 ‘전주시·자광, 옛 대한방직 터 개발 논의…면담 적절성 논란’의 기사에서 “우 시장은 옛 대한방직 터를 전주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조성하기 위해 자광 측 개발계획안을 접수하면 사전협상운영지침에 따라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행정 절차에 앞서 이뤄진 면담을 두고 적절성 논란이 일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자광은 지난 2017년 옛 대한방직 터 23만㎡를 매입해 전주시에 개발 정책제안서를 냈고 시민공론화위원회 권고 사항을 반영한 개발계획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우범기 시장-자광 회장 만남 부적절”
전주MBC도 이날 ‘우범기 시장, 자광 회장 만나...시민단체 "부적절"’이란 제목의 기사에서 “우 시장은 전 회장에게 민간 투자 유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면서 개발 이익과 소상공인 상생 방안 등에 대해 접점을 찾으면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면서 그러나 “시민단체는 부지 개발 협상 전이고 선거 브로커 고발 사건의 수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피고발인인 양측의 만남은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나타냈다”고 지적했다.
전주시민회 “전주시장 선거 브로커 사건 수사 진행 중...경찰·검찰 비웃는 행위”
이날 전주시장과 자광 대표와의 공식 면담과 관련해 전주시민회 이문옥 대표는 “자광이 요구하는 옛 대한방직부지의 용도 변경(일반 공업지역을 상업용지로 변경)은 기초자치단체인 전주시의 권한이 아니고 도시기본계획 변경의 최종 결정권자는 광역자치단체인 전라북도의 권한”이라며 “이 때문에 만약 관련 사전 협상을 진행한다면, 당연히 전라북도가 먼저 진행(도시기본계획변경)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또 “현재 우 시장과 자광 전 회장은 전주시장 선거 브로커 사건의 피고발인으로 수사가 진행 중이다”며 “더욱이 오늘(17일)은 선거 브로커 사건의 1심 판결에서 브로커 2명에 대해 징역 1년 6개월 실형이 선고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 대표는 "선거 브로커 사건의 공개된 녹취록에 선거자금을 지급했다고 언급된 자광의 대표와 구속된 브로커에게 전권을 주곘다는 등의 발언을 한 것으로 기록되어있는 우 시장이 만난 것은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과 검찰을 비웃는 행위이며, 전주시민을 우롱하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특혜·불공정 논란...시민공론화위원회에서도 결론 내리지 못해
한편 ㈜자광은 지난 2017년 옛 대한방직 부지 23만㎡를 매입한 후 2019년 3월 타워와 쇼핑센터, 호텔, 공동주택 등을 건설하는 내용의 정책제안서를 전주시에 제출했다. 그러나 전주시는 장기적 도시 개발 계획 등과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자광이 제출한 제안서를 반려했다.
이어 전주시는 2020년 옛 대한방직공장 부지에 대한 시민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한 뒤 1년 동안 할동을 마무리해 개발 계획안을 만들어 제출하도록 했지만 특혜성 논란과 불공정 시비가 끊임없이 제기된 가운데 공론화위원회 활동 종료 이후에도 가닥을 잡지 못한 채 민선 7기를 마무리했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