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개입 전북자원봉사센터, 도지사 사조직센터?"...책임은 누가 지나?

[뉴스 큐레이션] 2022년 7월 22일

2022-07-22     박주현 기자

선거 개입 논란의 중심에 서면서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는 전북도 산하 자원봉사센터에 대한 전북도의 부실한 관리·감독에 대해 전북도의회가 질타하고 나섰다. 그러나 정착 중대한 문제를 야기한데 대한 책임은 누구도 지지 않는 분위기다.

전북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위원장 김이재)는 21일 제393회 임시회 제4차 회의를 개최하고 전북도 대외협력국 등 올 하반기 업무보고를 들은 뒤 전북자원봉사센터의 선거 개입 문제를 집중 추궁했다. 

”센터장 채용 자격 요건 예외 조항 단 것은 선거 조직화하려 한 의도“ 

전주MBC 7월 21일 뉴스(화면 캡처)

이날 김성수 도의원(고창1)은 송하진 전 도지사 측근 논란이 거센 전북자원봉사센터장 임명과 관련해 “사회단체 경력 10년 이상이라는 기준에 JC(청년회의소)와 바르게살기운동본부 등 관변 단체의 경력까지 인정하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자원봉사센터 관리·감독 책임이 있는 전북도 담당과와 현 자원봉사센터장이 선거 개입 사건을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은 기관에 관심이 없었거나, 그에 동조했다고 밖에 볼 수 없다”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자원봉사에 대한 사명감이 없는 사람들이 여기에 임명됐기 때문에 사실 자원봉사센터가 정치적인 휩쓸림에 쓸려가지 않았나?"라고 추궁했다. 법으로 정한 자원봉사센터장 채용 자격요건에 '이사회에서 인정한 자'라는 예외 조항을 단 것은 자원봉사센터를 선거 조직화하려 한 의도가 담긴 것 아니냐는 질문도 나왔다. 

김정수 도의원(익산2)은 "상위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외 조항을 둔 것은 위법“이라며 ”센터장 자격요건 중 4대 항목에 부적합하기 때문에 그 적법성을 만들기 위해서 기타 요건을 집어넣었다“고 지적했다. 

”자원봉사센터가 아닌 전북도지사 사조직센터“...선거 개입 책임은 누가? 

KBS전주총국 7월 21일 뉴스(화면 캡처)

김 의원은 또한 “자원봉사센터가 특정 집단의 이익을 위해 동원됐다는 사실에 많은 도민들이 분노하고 있다”며 “행정에서 큰 책임감을 느끼고 혁신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을 주문했다. 

이러한 추궁에도 전북도와 전북자원봉사센터는 “책임을 인정한다”면서도 구체적인 개선 방안이나 책임 주체에 대해선 답을 내놓지 못해 더욱 따가운 눈총을 받았다. 박오상 전북도자원봉사센터장은 이날 질타하는 도의원들에게 "석고대죄하는 마음으로 혁신하겠다“며 ”조금 지켜봐 달라“고만 답했다.

그러나 이를 바라본 도민들 사이에는 ”사조직화 논란과 선거 개입 의혹으로 수사를 받고 있는 데도 누구도 책임지는 자가 없다“며 ”전북도 산하 자원봉사센터가 아닌 전북도지사 사조직센터라는 말이 나온지 오래다”는 비아냥이 쏟아져 나왔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