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원봉사센터에서 무슨 일이...경찰 수사 속도, 전·현 도지사 관련 여부 ‘촉각’

[뉴스 큐레이션] 2022년 7월 8일

2022-07-08     박주현 기자

6·1 지방선거에서 전북도지사의 3선 성공 여부에 비상한 관심을 모았던 송하진 전 도지사를 공천 과정에서 따돌리고 경선에서 승리한 김관영 현 도지사의 당선은 이변 중 대이변이었다.  

그런데 지방선거 분위기가 한창 무르익던 지난 4월 중순, 전북도 산하 자원봉사센터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입당원서 사본이 무더기로 발견된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전북자원봉사센터 선거 개입 의혹…전 도청 간부 체포, 수사 속도내나? 

전주MBC 7월 7일 뉴스(화면 캡처)

전북경찰은 4월 22일 전북자원봉사센터에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센터 간부 등 직원 2명이 쓰던 하드디스크와 자료들을 압수했다. 이 과정에서 민주당 입당원서 사본이 무더기로 발견돼 경찰은 공금 횡령과 개인정보 유출 등 혐의로 2명을 불구속 입건해 수사를 펼쳤다. 

무엇보다 당시 관권선거 의혹이 강하게 제기됐었다. 전북도 산하 자원봉사센터란 점에서 의혹을 받는 당사자들 가운데 일부는 송하진 전 도지사의 측근이란 보도가 나오면서 파장이 컸다. 

그런데 3개월이 지나서야 경찰은 이 사건에 대한 수사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경찰이 최근 전 전북도청 간부를 이 사건과 관련해 체포하면서 다시 관심이 쏠리고 있다. 7일 전북경찰청은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를 받는 전 전북도청 간부 공무원 김모 씨에 대한 체포영장을 집행하고 김씨의 자택을 압수수색했다.

민주당 입당원서 1만장 관리...누굴 위해?

JTV 7월 7일 뉴스(화면 캡처)

김씨는 민주당 입당원서 1만장을 입수해 자원봉사센터에서 관리하는 등 당내 경선을 방해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당시 당사자 동의 없이 받은 입당원서를 보관해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한 혐의로 자원봉사센터 직원 2명을 추가로 입건했다.

김씨 등 이들은 입당원서를 건네받아 엑셀 파일로 정리하는 작업을 했으며 이 명부를 통해 '권리당원화' 하고자 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처럼 경찰 수사가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산하기관인 자원봉사센터의 선거 개입에 전북도청의 전직 고위 공무원들도 가담한 정황들이 나오고 있어 주목을 끈다. 

특히 경찰의 수사가 전북도청의 또 다른 전직 간부들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전북도는 물론 자원봉사센터에 곱지 않은 시선이 쏠리고 있다. 무엇보다 수사 대상에 오르내리는 인물들이 지방선거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에 대한 궁금증이 증폭되는 모양새다. 

지방선거 연루 의혹…전 비서실장 등 전 전북도지사 최측근 수사선상 

이번 사건의 핵심은 지방선거 기간에 더불어민주당 입당원서 1만장을 유출한 혐의를 받는 전북도 간부 공무원이 과연 누구를 위해 이러한 입당원서를 관리했느냐가 최대 관건으로 부각되고 있다. 

민주당 도지사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방식은 권리당원 투표 50%와 도민여론조사 50%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권리당원 확보는 최종 후보를 결정 짓는 데 매우 중대한 요인이다. 

따라서 후보들 간 가장 치열한 경쟁을 벌이며 한 명의 권리당원이라도 더 확보하려고 선거 초반부터 사활을 건다. 더구나 전북지역에서 민주당 공천은 곧 선거의 승패를 좌우하기 때문에 더욱 치열하다. 

그런데 이러한 민주당 입당원서가 무더기로 발견된 이번 사건에서 송하진 전 전북지사의 최측근인 전 비서실장 등이 경찰의 수사선상에 오른 것은 예사롭지 않다. 전북CBS 노컷뉴스는 7일 관련 기사에서 “송하진 전 도지사의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전 비서실장인 고모 씨와 한모 전 과장도 경찰의 수사선상에 올라가 있다”며 “이들은 부하 직원에게 민주당 입당원서를 받아오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고 보도했다.

“선거질서 훼선 엄중한 사건...수사 확대 불가피”

경찰 내부에서도 이번 사건을 조직적인 관권선거로, 고위 공무원들이 선거에 개입해 선거질서를 훼손한 것으로 보고 매우 엄중하게 수사 진행 과정을 지켜보고 있다. 

더구나 자원봉사센터에서 관리한 명부가 특정 도지사 후보 측으로 흘러갔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렇다면 수사의 불똥이 어디로 튈지 모르는 상황에서 경찰은 사건의 중요성을 감안, 수사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일각에선 도지사 최종 경선 과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까 우려하는 목소리들이 나온다. 더욱이 경찰은 전북도 산하 자원봉사센터의 공금을 이용해 입당원서를 제출한 이들의 당비도 대신 납부한 의혹까지 수사를 벌이고 있어서 수사가 어디까지 확대될지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전현직 도지사 수사선상에 오르지 않을까 우려” 

전북도청 전경

아울러 경찰은 김씨가 특정 후보를 돕기 위해 입당원서를 관리했을 것으로 보고 전북도청의 또 다른 전직 간부들의 개입 여부도 수사를 확대하는 등 민주당 전북도당에 있어야 할 입당원서가 왜 전북자원봉사센터로 유출됐는지, 그리고 이들의 당비를 자원봉사센터 비용으로 지불했는지 여부도 수사의 대상에 포함시켜 그 결과가 주목된다. 

경찰 수사를 통해 자원봉사센터 입당원서 관리에 특정 후보가 개입한 것으로 드러나면 파장은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이러다 전현직 도지사가 모두 수사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을까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도청 안팎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송 지사 측근 중 자원봉사센터 관계 인물들 포함...의혹 명백히 밝혀져야” 

한편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전북도지사 후보 경선 결선에 올랐던 안호영(완주·진안·무주·장수) 의원은 당시 전북경찰청이 전북자원봉사센터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인 것과 관련해 “전북자원봉사센터는 60만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사회적 나눔 확산을 위한 기관으로 도민의 혈세를 지원받는 사단법인”이라며 “이곳에서 선거운동 조직을 운영하고 여론조사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활동을 벌인 것이 사실이라면 이는 도민이 절대 용납할 수 없는 사건”이라고 강조한 뒤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그는 또 “민주당 전북도지사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이 진행되는 과정에 미칠 영향이 중차대하다”며 “수사기관은 신속히 조사해 진상을 명확히 도민들 앞에 공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특히 송하진 지사의 민주당 경선 탈락 이후 특정 후보 지지를 공개 선언하고 지원활동에 들어간 소위 ‘송 지사의 측근’ 중에는 자원봉사센터와 관계된 인물들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며 “이에 대한 의혹도 명백히 밝혀져야 한다”고 주장해 이목을 끌었었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