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불법수의계약 논란 당사자 전주시의회의장 선출 강행...비난 여론 '확산'

이슈 초점

2022-07-04     박주현 기자

가족회사가 전주시와 수의계약을 해 지방계약법을 어긴 사실이 드러난 이기동 전주시의원의 더불어민주당 전주시의회 의장 후보 선출을 두고 비난과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한승우 전주시의원(정의당)은 지난 1일 전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기동 의원의 가족회사가 지난 2016년 2월부터 2020년 7월 사이에 18건(계약금액 7억4473만 원)에 달하는 공사를 전주시와 수의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는 이 의원이 지방계약법과 공직자윤리법, 전주시 윤리강령 조례 등을 명백하게 위반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승우 의원 ”전주시의회 의장 선출 다수당 횡포, 눈뜨고 볼 수 없어“ 

한승우 전주시의원

한 의원은 이날 "이 의원은 불법계약 사실을 몰랐다고 해명하고 있지만 설령 몰랐다고 하더라도 책임에서 자유로운 것은 아니다"며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여야 할 사람이 의장까지 출마하는 것은 시민으로서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한 의원은 또한 "감사원으로부터 18건의 불법 수의계약 사실을 지적받고도 전주시의회 의장에 출마하고 그런 사람을 시의장후보로 선출하는 더불어민주당의 행태를 눈뜨고 볼 수 없다"면서 "그들의 권력욕의 부끄러움은 전주시민의 몫"이라고 비난의 수위를 높였다. 그러면서 그는 ”이기동 민주당 의원의 의장 후보 사퇴“를 촉구했다.

앞서 민주당 소속 전주시의원 당선자들은 지난달 30일 의원 총회를 열고 이기동 의원을 신임 의장 후보로 선출했다. 의장 투표는 4일 예정돼 있지만, 이날 전주시의회 전체 35명 당선인 중 민주당 소속이 29명인 점을 고려할 때 사실상 의원 총회에서 확정된 셈이다. 

이기동 의원 "사과드리지만 억울한 점이 많다"

이기동 전주시의원

이와 관련해 이기동 의원은 한 의원이 기자회견을 가진 날 전주시청 브리핑룸을 찾아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한 점은 사과드리지만 억울한 점이 많다”고 항변했다.

이 의원은 또 “지적받은 수의계약은 대부분 수십개의 건설업체들이 동일한 조건 하에 경쟁입찰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면서 “그 누구도 불공정하게 개입할 수 없는 입찰”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전주시의원에 당선된 지난 2010년부터 해당 건설회사 경영에 그 어떠한 경우도 관여하지도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기동, 의장 선거에 출마하는 것은 전주시민을 모욕하는 파렴치한 행위“ 

이에 대해 진보당 전주시지역위원회는 지난달 24일 "불법 수의계약을 통해 특혜를 받은 이기동 전주시의원은 의원직을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진보당 전주시지역위는 전주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의원과) 부친이 지분을 보유한 건설사와 전주시가 최근 4년간 7억 4,000여만원의 공사계약을 했는데, 이는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에 위배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같이 밝혔다.

진보당 전주시지역위원회가 지난달 24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기동 전주시의원의 사퇴를 촉구했다.

시민사회단체도 이에 가세했다. 전주시민회는 지난달 16일 성명을 내고 “시의원 자격이 없는 이기동 의원 당선자가 의장 선거에 출마한 것은 전주시민을 모욕하는 행위”라며 "자진 사퇴할 것"을 요구했다. 또한 시민회는 “민주당은 이기동 당선자를 제명할 것”을 촉구했다.

전주시민회는 “이기동 시의원은 전주시의원 자격이 없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전주시의회 의장선거에 출마하는 것은 전주시민을 모욕하는 파렴치한 행위”이라고 비난했다.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도 같은 날 성명을 내고 “이기동 당선자의 부친 소유 건설회사가 지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전주시와 18건, 7억 4400만 원의 수의계약을 맺었다가 감사원 감사에 적발되었다”며 “전주시의회는 윤리강령을 위반한 이기동 당선자를 윤리위에 회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