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선거 브로커' 사과 않고 당원·​​​​​​​당직자 2명 제명만...공당 맞나?

진단

2022-05-28     박주현 기자

전북지역에서 '선거 브로커’ 파문으로 시작된 6·1 지방선거는 선거 기간 내내 ‘브로커-녹취록-대리투표-금품 제공’ 등의 잇따른 '돌발 악재' 속에 ‘최악의 선거’란 오명을 받고 있다.

특히 선거 브로커 암약 실태를 고발하고 전주시장 예비후보를 사퇴한 당사자가 더불어민주당 소속이란 점에서 ‘최악의 선거 진원지’란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지만 해당 당은 사건 발생 두 달여가 지나도록 사과 한마디 없이 슬그머니 당사자들을 제명 조치해 더욱 빈축을 사고 있다. 

민주당 전주시장 예비후보 "브로커-정치인 악순환 끊어내야" 사퇴...그 후 어떻게? 

이중선 더불어민주당 전 전주시장 예비후보가 4월 7일 사퇴 의사를 밝혔다.

이중선 전 전주시장 예비후보는 지난 4월 7일 전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 더불어민주당 전주시장 예비후보 직에서 사퇴한다"고 전격 발표해 깜짝 놀라게 했다. 더욱이 “지방선거를 앞두고 전북지역에서 부정한 방법으로 선거에 개입하는 조직이 활개를 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도면서 더욱 놀라게 했다. 

이 전 예비후보는 "브로커들이 돈과 조직을 수단 삼아 정치인에게 접근하고, 정치인은 자리 욕심에 그들을 이용하는 그 악순환을 끊어내고 싶다"면서 "고발인의 진정성을 보이기 위해 오늘 더불어민주당 전주시장 예비후보 직에서 사퇴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면서 그는 “지난해 5월부터 지역 선거 브로커들에게 시달려왔다”며 “브로커들의 제안은 여론조사 조직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었고, 돈을 들여 조직을 만들고 그 조직을 통해 여론조사에 적극 가담하면 결과가 확실하다는 식이었다”고 폭로했다. 

그는 또 "결정적 증거가 없어 그들이 퍼뜨리는 음해성 소문을 참아오다 브로커들이 선거에 개입하는 방식의 내용이 담긴 대화 녹취록을 제보 받았다"며 브로커들끼리 나눈 대화가 담긴 해당 녹취록을 일부 언론에 제보하면서 파문이 학산됐다.

특히 녹취록에는 개발업체들의 자금이 브로커를 통해 지역 정치인과 유력 후보들에게 수천만원씩 7억여원 가량 불법 선거자금으로 전달됐다는 내용이 담겨 충격과 파장이 지금도 가라앉지 않고 있다. 

“민주당, 도민 눈높이 맞는 철저한 검증·공정한 경선 통해 후보 선출하겠다더니...” 

23일 전북지역 27개 시민사회단체들이 선거 브로커 몸통 수사를 촉구하는 시위를 전북경찰청 앞에서 벌였다.

이러한 폭로와 예비후보직 사퇴가 있던 날 민주당 전북도당은 “'선거 브로커'를 통한 여론 조작 시도 등 당의 쇄신과 공천 개혁에 걸림돌이 되는 행위에 대해 후보 자격 박탈과 당원 제명 등 강력하고 단호한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상대 후보에 대한 근거 없는 비난 행위도 책임을 묻겠다”며 “민주당은 전북도민 눈높이에 맞는 철저한 검증과 공정한 경선을 통해 전북 발전을 이끌 후보를 선출하겠다”고 강조했다. 

그 후 한 달이 훨씬 지나서야 민주당 전북도당은 “지방선거 예비후보에게 선거 지원 대가를 요구한 혐의로 구속된 김모 씨가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에서 면직됐다”고 밝혔다. 민주당 전북도당은 "김씨를 정무직 당직에서 면직하고, 당원 자격 박탈을 위해 중앙당에 비상 징계를 요청했다"고 17일 밝혔다.

하지만 민주당 정무직 당직자인 김씨 외에도 당원인 한모 씨까지 선거 브로커 의혹과 관련해 전북경찰의 수사·구속으로 이어졌지만 민주당 전북도당은 공식 사과 입장을 내지 않았다. 

당원·당직자 2명 구속...사과 한 마디 없이 슬그머니 '제명'만

선거 지원 대가를 요구한 혐의로 브로커 2명이 구속된 가운데 이들은 모두 민주당과 무관하지 않다는 점에서 바라보는 시선이 싸늘하다. 정무직 당직자와 당원이란 사실이 밝혀졌지만 뭉그적거리다 시민사회단체들이 잇따라 성명을 내고 전북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과 릴레이 시위가 이어지며 '철저한 수사 촉구'가 빗발치자 슬그머니 제명 조치한 모양새다. 

그것도 민주당 전북도당이 징계를 요청한 지 열흘 만인 27일에야 민주당 중앙당은 이들을 제명 조치했다. 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전 민주당 전북도당 정무직 당직자 김모 씨와 당원인 시민단체 전 대표 한모 씨를 제명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방선거 출마 예정자에게 접근해 선거자금 지원을 대가로 인사권 등을 요구한 혐의로 구속돼 수사를 받고 있는 중이다.

“유권자들에게 상실감 안겨주고 우롱...사과 후 재발 방지책 마련하라”

이처럼 해당 당직자와 당원의 비위 행위가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사과 한마디 하지 않고 있다. 과연 ‘도민의 눈높이에 맞는 철저한 검증과 과감한 혁신, 공정한 경선을 실시해서 좋은 정책 경쟁을 통해 전북 발전을 이끌 후보를 선출하겠다’는 주장은 공염불에 불과한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민주당 전북도당은 공정한 선거문화를 훼손하고 도민과 유권자들에게 상실감을 안겨주고 책임을 방기하며 우롱한 데 대해 즉각적인 사과와 함께 재발 방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비등하다. 

특히 "민주당 전북도당은 ‘공천이 곧 당선’이라는 오만함에 빠져 공당으로서 역할과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따가운 비판이 이어지고 있지만 '모르쇠'로 일관해 공분을 더욱 자극시키고 있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