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거석·천호성 이어 김관영 후보도 '논문 표절 의혹' 제기...막판 뜨거운 '변수'
선거 이슈
6·1 지방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후보들 간 상호 비방과 흑색선전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전북교육감에 이어 전북도지사 후보의 논문표절 논란까지 제기되면서 선거가 최악의 국면을 치닫는 모양새다.
특히 선거 브로커 파문으로 시작된 전북지역 6·1 지방선거는 더불어민주당 공천 과정에서 드러난 대리투표, 금품 제공, 상습 도박 논란에 이어 일부 자치단체장 선거 과정에서 현금 뭉치 무더기 적발과 허위사실 유포로 인한 고발전 등 역대급 구태정치 선거풍토가 재현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교육감 선거, 폭행 의혹 진실 공방 이어 논문 표절 놓고 상호 비방
무엇보다 전북교육감 선거가 막판까지 네거티브 선거전으로 얼룩져 유권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전북교육감 선거에 나선 서거석·천호성 후보는 폭행 의혹을 둘러싼 방송 토론회에서의 진실 공방을 결국 고소·고발로 확대시킨데 이어 이번에는 '논문 표절 의혹'을 제기하며 상호 공방이 가열되고 있다.
먼저 천 후보는 25일 전북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 후보의 논문 표절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서 후보가 2005년 일본 주오대학에서 ‘조직 범죄’ 관련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과정에서 제자가 쓴 박사학위 논문의 많은 부분을 그대로 옮겨와 표절했다“고 주장했다.
”제자가 쓴 논문의 많은 부분 그대로 옮겨와 표절“ 주장
천 후보는 이어 "서 후보는 출처나 인용표기를 분명하지 않게 하거나 아예 생략해버린 채 제자의 논문 중 수십 단락을 그대로 썼다"며 "대학 교수가 제자의 논문을 복사 수준으로 표절해 일본의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는 것은 교육 사기이고 국제적 학술사기"라고 비난했다.
앞서 천 후보는 이와 관련해 24일 열린 방송 토론회에서도 이 문제를 제기했었다. 이에 대해 서 후보는 "제자에게 연구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함께 지도하면서 작성된 것”이라며 “논문에 정확히 인용 출처까지 밝혔으며 논문의 최초 작성자는 자신(서 후보)이나 다름없다"고 밝혔다.
오히려 서 후보는 "천 후보가 2009년 발표한 논문은 다른 집필자의 2007년 전주교대 석사학위 논문을 21줄이나 출처를 밝히지 않고 그대로 옮겼다"고 표절 의혹의 역공세를 펼쳤다. 그는 "자신의 저작물을 인용할 때도 명확하게 출처를 표기해야 하지만, 천 후보는 출처 표기를 누락시켰다”며 “이런 자기 표절은 연구실적 부풀리기의 전형적인 수법"이라고 주장했다.
이처럼 전북 교육계 수장에 도전한 두 후보는 서 후보의 총장 재직 시절 동료 교수 폭행 여부를 놓고 진실 공방을 펼치면서 상호 고소·고발을 한 데 이어 논문 표절 의혹으로 치열한 공방을 펼치고 있다. 그러는 사이에 정책 공약은 제대로 어필하지 못하고 있다는 불만과 비판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KBS전주 ”김관영 도지사 후보 석사논문 104페이지 중 41페이지 표절 정황“
이런 가운데 전북도지사 더불어민주당 김관영 후보의 과거 석사 학위 논문 표절 의혹이 KBS전주총국에 의해 제기돼 시선을 끌었다. 방송은 25일 ‘김관영 도지사 후보 석사 논문 표절 의혹…문장 218개 ‘동일’‘이란 제목의 기사에서 문제를 제기했다.
기사는 ”김관영 민주당 전북도지사 후보는 1995년 서울대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는데 이 때 낸 논문을 KBS가 검증해봤더니, 인용표기를 제대로 하지 않고 상당한 분량을 다른 논문에서 가져다 쓴 정황이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기사에 따르면 김관영 민주당 전북도지사 후보가 쓴 서울대 행정학 석사 논문은 '오염배출권 거래제도에 관한 연구'란 제목으로, 1995년 2월 발간됐다. 그런데 KBS 취재 결과, "전체 104페이지 분량 가운데 41페이지에서 표절 정황이 확인됐다"는 보도다.
이날 방송은 ”김 후보 논문보다 1년가량 먼저 나온 두 연구논문에서 문장과 표까지 그대로 가져다 쓴 흔적“이라고 밝힌 뒤 ”취재진이 김 후보 석사 논문 전체 문장을 분석해 대조해보니, 표절 정황이 확인된 41페이지 가운데 218개 문장은 동일했고, 18개 문장은 길이를 조금 줄이거나 서술 방식을 달리한 수준이었다“고 강조했다.
”당시 지도교수 꼼꼼한 지도 아래 작성...연구 부정 여부는 고려하지 못해“
그러면서 ”연속되는 단어의 한자 표기만 바꾸는 꼼수는 거의 모든 문장에서 발견됐다“고 밝힌 기사는 ”원저자가 단 인용 표기까지 그대로 베낀 것으로 의심되는 '재인용 표절' 정황도 적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관영 후보 측은 이번 논문 표절 의혹에 대해 ’당시 지도교수의 꼼꼼한 지도 아래 작성된 만큼, 연구 부정 여부는 고려하지 못했다‘ 는 취지로 입장을 밝혔다“고 기사는 전하면서 ”3년 전 최정호 당시 장관 후보자와 비슷한 해명“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처럼 올 지방선거에서 전북지역 행정의 최고 수장 자리인 도지사와 교육감에 도전하는 후보들의 과거 논문 표절 의혹이 동시에 제기됨에 따라 곱지 않은 시선이 쏠리고 있다. 선거 후에도 적지 않은 후유증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