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브로커 해당 언론사·단체는 사과·해명하고, 경찰·선관위는 철저히 수사·조사하라“
[뉴스 큐레이션] 2022년 4월 16일
6·1 지방선거를 앞두고 전주시장에 출마를 선언했다가 조직적인 선거 브로커의 암약 실태를 폭로하며 후보직을 사퇴한 일이 발생한 지 10일이 지났지만 달라진 것은 없고 오히려 언론 제보와 비리 폭로 당사자가 압박과 신변 위협에 노출돼 또 다른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특히 현직 언론인과 특정 시민단체 간부 등이 개입돼 지역사회를 충격에 빠뜨린 선거 브로커 실태 폭로 이후 사법당국과 선거관리위원회의 미온적인 대처가 비난의 도마에 올랐다. 또한 해당 언론사 및 단체는 해결 방안이나 자성·성찰 등의 기미조차 보이지 않아 따가운 시선이 쏠리고 있다.
보름 지났지만 달라진 건 폭로 당사자 압박·위협 뿐...반성·사과조차 없어
지난 3월 27일 <전북의소리>를 통해 선거 브로커가 지방선거를 앞두고 조직적으로 활동하고 있다는 처음 보도(관련 기사 : 언론인·개발업체 낀 선거 브로커 ‘활개’...감시·경계 필요) 이후 4월 6일 전주MBC는 지역 언론인과 시민단체 관계자, 개발업체 대표 등이 가세한 조직적인 ‘선거 브로커단’이 오랫동안 지역 내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증언을 공개해 파문이 더욱 확대됐다.
이어 다음 날인 7일에는 선거 브로커 실체를 폭로한 이중선 전주시장 예비후보가 후보직을 사퇴하면서 전주시민회와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등 시민사회단체들이 잇따라 성명을 내고 사법당국 및 선거관리위원회의 철저한 수사·조사와 민주당의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그러나 최초 보도 이후 보름여가 지난 지금 달라진 게 별로 없다. 오히려 지금도 각 후보 캠프에 선거 브로커가 암약하고 있다고 실체를 폭로한 당사자가 반격을 당할 처지에 놓였다. 언론에 브로커 비리를 제보하고 후보직을 내려놓으며 브로커 비리의 실상을 공개한 당자사의 신변 보호가 시급한 형편이다.
실제로 폭로 당사자인 이중선 전 전주시장 예비후보는 13일 KBS전주총국 라디오 시사프로그램 ‘패트롤전북’에 출연해 ”반성하고 변할 줄 알았는데 오히려 압박을 가하기 위해 반격을 준비하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더욱이 그는 ”선거자금과 조직을 대가로 이권과 인사권을 요구했던 선거 브로커들이 여전히 다른 후보들의 캠프에서 활동 중“이라고 밝혀 사법당국과 선거관리위원회에 시선이 쏠리고 있지만 별다른 조치가 이뤄지지 않고 있어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비리 폭로 후 논란 확산에도 경찰·선관위 팔짱만, 왜?
이와 관련해 JTV전주방송은 15일 ‘논란 확산에도 조사나 수사는 글쎄?’란 제목의 기사에서 ”선거 브로커와 여론 조작에 관한 폭로 이후 경찰이나 선거관리위원회 등 관련 기관들은 의혹에 대해 실제로 조사나 수사를 진행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라고 보도해 관계 당국들의 미온적인 태도를 확인해 주었다.
이날 방송은 해당 기사에서 ”선거 브로커가 접근했다는 사실을 폭로하며 사퇴한 이중선 전 전주시장 예비후보가 휴대전화 요금 청구지 이전을 통해 여론조사 지지율을 높여주겠다는 제안도 받았다고 공개했다“며 ”일부 지역의 민주당 소속 단체장 예비후보들도 연이어 기자회견을 열며 공개적으로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으며 선관위에 조사를 의뢰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선관위는 금품제공 정황 등이 있다면 모를까 조사에 나설 근거가 마땅하지 않다는 입장“이라고 보도한 기사는 ”현재 선거법에는 여론조사를 위한 휴대전화 가상번호는 최신 정보를 기준으로 제공한다는 규정만 있을 뿐“이라며 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지금 단순하게 요금 청구서 주소를 변경했다는 그 이유만으로 가지고 선거법을 적용하기는 힘들 것 같다“는 내용을 덧붙였다.
기사는 또 ”수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지만 의혹을 들여다보고 있다는 경찰은 정식 수사 전환에는 신중하다“면서 ”아직 근거나 실체가 분명하지 않다는 입장“이라고 보도했다.
이처럼 한 지방선거 단체장 예비후보의 비리 폭로 이후 사퇴 파문이 정작 문제를 제기하며 조사와 수사를 전개해 나가야 할 관계 당국들이 초동 재처를 미온적으로 하고 있음이 이날 보도에서도 확인됐다.
민주당 전북도당 역시 ”여론조사 조작 행위가 확인되면 엄단하겠다“는 방침을 내세우고 있으나 지방선거를 앞두고 가상번호 여론조사를 둘러싼 논란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경찰, 브로커 관련 철저한 수사·사이비 언론 근절을“ 촉구 잇따르고 있지만...
전북민중행동은 7일 논평을 통해 "선거관리위원회와 경찰은 이번 의혹을 그냥 넘어가서는 안된다"면서 "신속하고 엄중한 수사해 진상을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고 철저한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
이어 8일 전주시민회가 성명을 낸 데 이어 11일에는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가 논평을 냈으며, 12일에는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전북민언련)도 성명을 내고 선거 브로커 논란에 대한 사법당국의 철저한 수사와 사이비 언론 행위 근절을 촉구했다.
특히 전북민언련은 "이번 사건을 단순히 지역 언론인 개인의 일탈행위로 보지 않는다"며 "해당 기자에 대한 경찰과 검찰의 철저한 수사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지역언론계의 철저한 자성과 사이비 언론행위 근절의 계기로 삼을 것"을 촉구했다.
그러나 사법당국이나 선거관리위원회, 민주당 전북도당은 미온적 태도나 대처로 일관해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다. 더욱이 해당 언론사와 특정 시민단체 역시 별다른 해명이나 자성은커녕 은근히 넘어가려는 태도까지 드러내 빈축을 사고 있다.
”해당 특정 시민단체, 관계 임원 슬그머니 홈페이지 명단서 삭제“ 논란
특히 선거 브로커와 여론 조작 폭로와 관련된 해당 언론사는 사과는커녕 일체의 보도를 하지 않고 있고, 해당 특정 시민단체는 홈페이지에 공개된 임원진 명단에서 당사자로 지목된 이름을 삭제해 놓고도 역시 사과나 해명을 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는 비난이 SNS 상에서 들끓고 있다.
시민 이 모씨(전주시 중화산동)는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당사자나 특정 시민단체가 결백하고 떳떳하다면 이름을 삭제할 이유가 없다“며 ”당사자의 소명이 필요하다면 당당하게 밝히면 그만“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또한 ”이름을 삭제했다는 것은 스스로 문제가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며, 그 단체는 공동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라며 ”지금 시민단체가 해야 할 일이라면 선거 브로커 사건의 간부 이름을 삭제할 것이 아니라 소속 간부가 불미스런 일에 연루된 것에 대해 회원과 시민들께 머리 숙여 사과하고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재발 방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많은 시민들은 공감 댓글과 함께 ‘어떤 언론사와 단체인지, 또 누구인지 낱낱이 공개해야 한다’, 철저한 수사로 진상을 꼭 밝혀야 한다‘는 주장의 글들이 이어졌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