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선 “정치 브로커들 선거 좌지우지...예비후보 사퇴”, 갈수록 확대되는 ‘브로커’ 후폭풍

[뉴스 큐레이션] 2022년 4월 8일

2022-04-08     박주현 기자

“선거 브로커들이 판치는 정치 연결 고리를 끊어야 한다.” 

정치 브로커들이 선거철 암약하고 있다는 제보와 증언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급기야 더불어민주당 전주시장 예비후보인 이중선 전 청와대 행정관이 정치 브로커의 실상을 폭로하고 예비후보에서 사퇴해 파장이 커지고 있다.

“건축·토목 관련 전주시 국·과장급 자리 인사권 거래 조건으로 제시”

JTV 전주방송 4월 7일 뉴스 영상 화면 캡처

이중선 예비후보는 7일 전주시청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입지자로서 지역활동을 시작한 작년 5월부터 브로커들에게 시달리기 시작했다”면서 “처음에는 그들이 하는 말이 장난인 줄 알았으나 시간이 갈수록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집요하게 압박했다”며 정치 브로커들에게 시달려온 과정을 토로했다.

이어 이 예비후보는 “그동안 말로만 들어왔지 실제로 이렇게 브로커들이 선거를 좌지우지 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며 “전주시장이 아니라 전주의 정치문화를 조금이라도 전진시켜 보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나섰는데 그들의 부당한 요구에 무릎을 꿇을 수는 없었다”고 심경을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지난해 해당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높게 나왔지만 단호하게 그들의 요구를 거절하자 하나둘씩 떠나게 됐다”면서 “선거 브로커들이 건축·토목과 관련된 전주시의 국·과장급 자리의 인사권을 거래 조건으로 제시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서 “최근 언론 보도에 나온 휴대전화 청구지 변경을 통한 지지율 여론조작도 광역 등 여러 지역에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결정적 증거가 확보되지 못한 가운데 지난 10월 녹취록을 제보받아 공개하게 됐고 모든 사실 여부는 수사기관에서 밝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콜떼기 정치·브로커 선거, 개선책 마련해 달라”

전북CBS 노컷뉴스 4월 7일 기사(홈페이지 갈무리)

이 예비후보는 “중앙당 윤호중 비대위원장과 김성주 도당위원장 등 지도부가 이른바 ‘콜떼기 정치’와 ‘브로커 선거’의 개선책을 마련해 달라”면서 “전주의 정치 문화 발전을 위해 후보직에서 사퇴한다”고 밝혔다.

이 예비후보는 “재력이나 학연, 지연이 선거 승리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해서는 안 된다”며 “모든 전주시장 예비후보들이 시민을 위한다면 선거 브로커와 손잡지 말아달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이날 이 예비후보가 한 발언은 그동안 일부 언론에 의해 보도된 내용 외에 추가 의혹도 제기했다.

“100억원대 수의계약 재조사” 요구...2018년에 무슨 일이?

전주MBC 4월 7일 뉴스 영상 화면 캡처

그는 특히 "브로커들이 여론조사 조작과 함께 인사권과 사업권 등을 요구했다"며 "지난 2018년 모 후보가 거론했던 100억원대 수의계약 사건을 재조사해야 한다"고 의혹 전반에 대한 수사를 요구해 시선을 끌었다. 

이어 "후보직을 유지한다면 지지율을 뒤집기 위한 얄팍한 수로 보일 수 있다"며 "진정성 있는 문제 제기를 위해 후보에서 사퇴하겠다"고 밝힌 그는 “선거 지원을 대가로 인사권을 요구한 브로커로부터 전화 여론조사 지지율도 높여줄 수 있다는 제안까지 들었다”고 강조했다. 

사전에 포섭된 휴대전화 이용자들의 '전화요금 청구지'를 특정 지역으로 대거 바꿔치기 해 여론조사 선호도를 몰아주겠다는 제안이 정치 브로커들 사이에서 횡행하고 있음을 다시 한번 밝힌 것이어서 관계 당국의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막대한 이권 챙기려는 '이권 카르텔 세력'에 의해 희생된 사건”

새전북신문 4월 8일 5면 기사 지면 캡처

이 예비후보는 "불의와 타협해서 갈 수는 없기에 앞으로도 옳은 생각으로 바른 길을 걷겠다"며 "그것이 제가 노무현ㆍ문재인 두 분 대통령님께 배운 정치"라며 사퇴의 변을 마무리했다.

한편 이날 이 예비후보의 폭로와 사퇴 기자회견 이후 전주시장 예비후보들의 입장과 성명이 이어졌다. 조지훈·유창희·임정엽 민주당 전주시장 출마 예정자들은 즉각 성명을 내고 “이번 사건을 계기로 선거 적폐를 청산하는 정치개혁을 이뤄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임정엽 출마 예정자는 “젊고 참신한 후보가 민주당 이름을 빌어 정당 공천에 개입하고 막대한 이권을 챙기려는 이권 카르텔 세력에 의해 희생된 사건”이라면서 “검경 수사를 통해 진상이 명명백백하게 밝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선거 브로커 실태 폭로와 예비후보 사퇴는 지역 정치권은 물론 관련된 언론사와 언론인, 시민단체, 전주시 등 지자체, 건설 및 주택업계 전반으로 후폭풍의 영향이 미칠 전망이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