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조선소 1,700일 만에 재가동한다”...이번에는 믿을 수 있을까?
[뉴스 큐레이션] 2022년 2월 22일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1천 700일 만에 재가동한다 -전북도민일보 1면
군산조선소, 1700일 만에 내년 1월 가동 -새전북신문 1면
2017년 7월 가동이 중단돼 지역 경제에 큰 타격을 입혔던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재가동이 임박했다는 뉴스가 다시 주목을 끌고 있다. 지역 일간지 두 곳의 기사 제목과 내용이 흡사하다.
전북도민일보·새전북신문,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1,700일 만에 가동” 동일 주장
22일 자 서울(주재기자)발 1면 머릿기사로 내보낸 두 언론은 전북도민일보와 새전북신문이다. 제목을 보면 그동안 중단됐던 군산조선소가 곧 재가동할 것처럼 뉘앙스를 풍겼지만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1년 후인 내년 상반기 가동을 전제로 한 협약을 체결한다는 예고 기사다.
따라서 아직 '재가동'을 확정하기엔 이르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미 지난해 연말에도 군산조선소가 곧 재가동할 것처럼 일부 지역언론이 대서특필했던 사례가 있었기 때문이다.
두 신문의 보도를 종합하면 "현대중공업과 전북도, 군산시,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24일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홍보관에서 재가동 내용의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라는 게 주된 내용이다.
전북도민일보 "재가동 큰 선물"...2개월 전 부정적 보도와 '대조'
전북도민일보는 해당 기사에서 “이날 협약은 당초 군산조선소 재가동까지 막후 사령탑 역할을 했던 신영대(군산) 의원까지 5자 협약으로 진행될 계획이었으나 신 의원이 모든 공을 전북도와 군산시에 돌리고 협약당사자로는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며 해당 지역 국회의원의 공로를 부각시켰다.
그러면서 신문은 “그동안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으로 경제난을 겪었던 시민들은 이번 협약으로 조선소 재가동이라는 큰 선물을 받게 됐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현대중공업이 2023년 1월부터 군산조선소 가동을 재개하고, 물량 및 공정을 단계적으로 확대함으로써 향후 완전한 재가동을 실현할 수 있도록 협력하는 내용이 담길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해 찜찜한 여지를 남겼다.
앞서 지난해 12월 3일 전북일보가 “전북도민의 숙원이었던 군산조선소 재가동이 마침내 현실화됐다”며 긍정적인 보도를 하자 사흘 후인 12월 6일 전북도민일보는 전북일보 보도와는 달리 부정적으로 보도했다.
당시 전북도민일보는 '군산조선소 재가동 여전히 '안갯속''이란 제목의 기사에서 “군산조선소 재가동이 단시일 내에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해 대조를 보였다.
새전북신문 “지역경제 '훈풍', 극적 반전 최고조로 끌어올려"...'극찬'
한편 새전북신문도 22일 1면 머릿기사에서 “군산조선소 재가동과 관련한 정치권 및 경제계의 기대감이 높은 가운데 지역경제에도 훈풍이 불 것으로 기대된다”며 “무엇보다 지난달 중순 군산조선소 정상화 여부를 판가름할 잣대 중 하나로 꼽혀온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합병 작업이 유럽연합(EU) 반대로 무산된데 이후 나온 이번 희소식은 극적 반전을 최고조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극찬했다.
신문은 또 “이번 협약서에는 현대중공업이 내년 1월부터 군산조선소 가동을 재개하고 물량 및 공정을 단계적으로 확대함으로써 향후 완전한 재가동을 실현할 수 있도록 협력한다는 내용 등이 담기는 것으로 전해졌다”고 밝혔다.
이어 기사는 “우선 현대중공업 울산공장에서 조립할 선박 블록을 군산조선소에서 생산·조달하는 것부터 시작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물량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고, 어느 수준에 도달하면 완전한 선박 건조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인력 5천여명, 협력업체 70여개 필요...선거 등 변수 많아
그러나 협약이 이뤄져도 재가동에는 아직 1년여 시간이 남았다. 인력 충원과 충분한 시설 확충·보강 등이 기간 내 이뤄져야 가능하다. 앞으로 있을 대선과 지방선거의 변수들도 남아있다.
이와 관련해 KBS전주총국과 전주MBC 등 지역 방송사들은 군산조선소가 재가동될 경우 선박 건조 대신 선박 블록 생산 가능성이 크다는 점과 노사 간 교섭이 여전히 변수로 남아 있다는 점 등을 지적한 바 있다.
더욱이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는 가동이 중단되기 전인 2016년까지만 해도 5,250명의 직원이 근무했으며 86개 협력업체가 물품을 납품했었다. 그런데 가동 중단 이후 현재 직원은 불과 235명, 협력업체도 15개에 불과해 재가동을 위해서는 당장 많은 인력과 협력업체 등이 필요하다.
1년 후에 있을 재가동에 관한 협약임에도 선거를 앞두고 미리 과대 홍보하는 게 아니냐는 조심스러운 지적들이 나오는 이유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