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종합경기장·가련산공원 개발계획 중단하라”...선거 앞두고 뜨거운 논쟁

[뉴스 큐레이션] 2022년 2월 17일

2022-02-17     박주현 기자

전주 도심에 십 수년 동안 흉물로 방치돼 온 전주종합경기장 부지 활용 문제를 놓고 전주시와 지방선거에 출마할 예비 후보자들 간 이견이 뚜렷하게 드러나면서 갈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지방선거를 앞두고 전주시가 뒤늦게 개발을 강행하고 나선데 대해 행정 및 예산 낭비가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높게 일고 있다. 

[해당 기사] 

"전주 심장을 롯데에게?"...전주시, 종합경기장 개발 강행 '논란' 

그런가하면 전주지역 시민단체들이 LH가 추진하는 도심 가련산공원 개발계획 중단을 촉구하고 나서 주목을 끌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전주시가 적극 나서서 가련산공원을 시민들에게 돌려줄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반응은 미지근하다.

[#1] 임정엽 전 완주군수 “종합경기장 부분 개발 3월 착공 전면 유보” 주장

16일 전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종합경기장 개발에 관한 입장을 밝힌 임정엽 전 완주군수.

전주시장 출마를 선언한 임정엽 전 완주군수는 전주시의 종합경기장 개발 계획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3월 착공 강행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임 전 군수는 16일 전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저를 포함한 출마 예정자들이 제시한 전주종합경기장 부지 개발 방향이 현재 전주시의 사업 방향과 상충되는 부분이 많다”면서 “용도 중복 등으로 재조정할 필요성이 큰 만큼, 전면 유보가 마땅하다”고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그는 또한 “종합경기장의 전체 그림은 완성되지 않은 상태”라면서 “실제 대부분의 사업이 행정 절차가 진행 중이고 핵심 사업의 경우 중앙정부의 재정투자심사를 받고 있다”고 지적한 뒤 “심사 결과에 따라서는 개발 계획이 원점으로 돌아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제기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런 상황에서 정원의 숲 공사를 시작하는 것은 자칫 예산과 행정력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며 “정원의 숲 공사가 전체 종합경기장 개발사업의 3%에 불과하지만 나머지 사업 내용을 좌우할 수 있는 비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원의 숲 착공을 유보해주길 정중하게 부탁한다”고 밝혔다.

전주시 "계획대로 진행 방침"...논란 가열 전망

           전주종합경기장 전경.

'정원의 숲'은 전주종합경기장 부지재생사업인 ‘시민의 숲 1963 프로젝트’ 중 하나인 테마 숲 조성사업 중 일부로, '예술의 숲', '놀이의 숲', '미식의 숲', '마이스 숲' 등 5개로 구성된다. 전체 사업 면적은 야구장 옆 청소차량 차고지와 양궁장 이전 부지 등 약 8000㎡이며 시는 이를 위해 27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그러나 롯데에게 호텔과 백화점을 내주고 컨벤션센터를 기부채납 받겠다는 전주시의 기본 구상에 대해 전주시장 출마 예비 후보들은 공공시설인 시청사와 버스터미널 부지 또는 또 다른 제3의 개발 계획을 제시해 서로 팽팽히 맞서는 상황이어서 논란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란 지적이 제기돼 왔었다. 

더욱이 이러한 임 전 군수의 주장에 대해 전주시는 "다음 달 전주 종합경기장 내 '정원의 숲' 착공을 예정대로 진행할 방침"이라고 밝혀 지방선거가 임박해 오면서 논란은 더욱 가열될 전망이다.

무엇보다 수년 째 개발을 미뤄오다 임기 3개월을 앞두고 현 시장이 착공을 서두르고 있는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특히 전체가 아닌 부분 착공은 예산과 행정력이 낭비될 소지가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2] “전주 도심 가련산공원 민간 임대주택개발 계획 중단하라”

KBS전주총국 2월 16일 보도(화면 캡처)

전주지역 시민단체들이 도심 복판의 가련산공원 개발 계획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도시공원지키기전주행동’은 16일 전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토부는 가련산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 지정을 해제하고 사업시행자인 LH는 가련산공원 개발 계획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단체는 “가련산공원 개발은 공원감소 외에도 매우 심각한 도시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어 환경단체는 물론 교통 전문가들도 반대하는 사업”이라며 “국토부는 아파트 공급 과잉과 도시공원 유지의 필요성에 대한 시민들의 의견을 존중해 민간임대주택 지구지정을 취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산림 훼손, 교통난 불 보듯...전주시 적극 나서야" 

국토부는 지난 2018년 가련산 일원을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촉진지구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사업 시행자인 LH는 가련산 32만 1,386㎡에 민간임대 752호와 공공임대 300호, 일반분양 451호 등 총 1,503호를 공급할 계획으로 가련산 인근에 사업을 추진 중이다.

전주시 가련산공원 내 숲길.

당시 전주시도 민간공원특례사업으로 공원부지의 30%에 아파트를 짓고 나머지는 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이었지만 시민단체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 지난 2020년 3월 공원으로 도시관리계획 변경 결정을 고시했다. 또 같은 해 6월 토지와 지장물의 수용 등을 위한 전주 도시계획시설사업 실시계획을 고시했으나 LH는 법원에 도시계획시설 결정처분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하면서 뒤바뀌었다.

법원은 지난달 27일 절차상의 문제 등을 이유로 LH의 손을 들어준 것이다. 그러나 시민단체들은 “가련산공원 개발이 추진될 경우 환경문제 야기는 물론 심각한 교통난까지 초래될 것”이라며 “도시 숲과 정원 등 생활권 녹지 확대로 막대한 예산을 쏟아부어야 하는 상황에서 산림을 훼손해 아파트를 짓겠다는 것은 이율배반적인 행정”이라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전주시를 향해 “시민들을 위해 행정이 적극 나서줄 것”을 요구했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