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해수유통 끝까지 반대한 송하진 지사 강력 규탄"
[전북지역 신문·방송 톺아보기] 2021년 2월 25일(목)
새만금의 미래를 그리는 새만금위원회가 24일 전북도청에서 열렸지만 해수유통에 관해서는 명료하게 반영되지 않아 환경단체 등 시민사회단체들의 거센 반발이 일고 있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전북도를 방문해 제25차 새만금 위원회를 직접 주재한 이날 회의는 그동안 광화문 1번가를 통해 공개한 새만금 기본계획 변경안을 의결하고 환경부의 수질개선 대책, 농식품부의 농업용수 공급 대책 등이 논의됐다.
이번 새만금 기본계획에는 그린성장, 신산업의 중심으로 만드는 세부 방안들이 포함됐다. 또한 수변도시 건설, 첨단농업 거점, 관광생태 중심, 개방형 경제특구 등을 5대 목표로 내걸었다.
아울러 10년 단위로 개발 목표를 분명히 하고 2030년 안에 공항과 항만을 완공하는 한편 내부 도로도 정부가 직접 건설한다는 방안도 발표됐다. 또 주목할 점은 그동안 새만금 개발에 참여하지 않았던 수자원공사가 상수관로 건설을 계기로 그린수소복합단지 조성과 항만경제특구 개발에 참여하기로 했다.
관심을 모았던 해수유통과 수질 개선에 대해서는 담수화를 유예하면서 대책이 필요했던 농업용수의 경우 기존 군산지역에 공급되던 금강물을 새만금까지 연결해 5년 뒤 농사를 개시하는 방안으로 정리됐으나 환경단체가 기대했던 전면적인 해수유통은 반영되지 않았다.
주야 2회로 갑문 개방을 확대한 만큼 향후 3년 시행해 본 뒤 수질을 평가해 중장기 대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해수유통을 전제로 내부 준설 중단과 갯벌 복원, 해양관광 육성, 양식업 진흥의 큰 그림을 주장해 왔던 환경단체는 즉각 반발했다.
이날 이봉원 새만금해수유통추진공동행동 공동대표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새만금 해수유통을 결정하지 못한다면 송하진 전북도지사 퇴진운동을 본격 추진할 것을 밝힌다”고 강하게 압박했으나 해수유통 결정이 끝내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전북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새만금위원회가 새만금 기본계획에 해수유통을 명시하지 않은 것은 매우 유감”이라며 “새만금 해수유통을 끝까지 반대한 송하진 도지사에 대하여 강력히 규탄한다”는 글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렸다. 이처럼 새만금 해수유통 문제를 놓고 논란과 갈등은 계속될 전망이다.
다음은 2월 25일(목) 전북지역 주요 신문·방송의 1면 및 헤드라인 기사 제목.
전북일보
백신 수송 시작 내일 1차 접종
새만금 해수유통 결정 안돼 ‘논란 불씨’
전주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출범 2030년까지 ‘탄소강국’ 만든다
전북도민일보
새만금 2050년까지 인구 27만명 도시 육성
전북, 국내 탄소생태계 이끈다
전북신보 이사회 전북금융센터 건립안 상정 조차 못해 난항
도내 보건소·요양병원 코로나 백신 25일 도착
전라일보
"새만금 해수유통 도민 공감 얻어야"
국민의힘 전북 비례 최대 3명
전북-경남 ‘개인 맞춤형 웰니스산업’ 협력
새전북신문
오늘 '군산형 일자리' 판가름
새만금 '담수화-해수화' 3년뒤 재검토
국립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출범
전북중앙신문
30년까지 새만금 신항-공항 건설
신생아 줄고 사망자는 늘어 자연감소 가팔라 개선 급해
스쿨존 주정차위반땐 12만원
전민일보
한국탄소산업진흥원 공식 출범
새만금 해수유통, 2023년 이후 결정
전북지역서도 ‘설연휴 가족모임’ 집단감염 고리 확인
KBS전주총국
2050 새만금 비전…재생에너지·신산업 중심지로
새만금위원회 “수질개선대책 먼저”…‘해수유통’ 결정 미뤄
전주MBC
"글로벌 신산업 육성".."환경 논란 여전"
한국탄소산업진흥원 개원식, 미래산업 인프라 확충
JTV
새만금 기반시설 '민자 대신 재정으로'
배드민턴 학폭..."코치가 합의서 쓰게 했다"
전북CBS
뒤로 미뤄둔 '새만금 해수유통' 논란 불씨
전라북도 재난예경보시스템 빨간불…꼬리무는 의혹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