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벌레 소리로 읊조리다가 떠나간 '옥봉 백광훈'
백승종의 '역사 칼럼'
현대인들은 아마 옥봉 백광훈을 모를 것이다. 그런데 그로 말하면 16세기를 대표하는 최고의 시인이다.
그는 사암 박순의 문인으로 당나라의 시풍에 정통하였다. 선조 5년(1572)에는 포의 布衣(벼슬 없는 선비)로서 제술관 製述官이 되어 명나라 사신을 접대하였다. 또 고죽 최경창, 손곡 이달과 함께 당대에는 ‘삼당시인 三唐詩人’이라 불렸다. 그들이 지은 당풍의 한시는 격조가 높아서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았다.
특히 옥봉 백광훈은 평생 시학만 연구한 것으로 정평이 나 있었다. 그는 마음이 상하고 눈이 멀 정도로 열심히 시를 전공하였다[劌心鉥目]. 힘써 노력한 끝에 좋은 시구 한 개라도 얻으면, 그날 은 너무 기뻐서 밥 먹는 것도 잊었다.
오직 시만을 사랑하여 평생을 가난하게 살았으나 누구를 탓하는 법도 없었다. 그는 글씨에도 능해 왕희지나 왕헌지를 방불케 하는 멋진 솜씨를 갖추었다. 어느 때였던가 남원 광한루에서 쓴 백광훈의 시 한 편이 전하는데, 읽어볼 만하였다.
그림 같은 난간 서쪽 호수에는 푸른 개구리밥 물결이네.
끝없는 석별의 정으로 날이 저무네.
향기롭고 꽃다운 풀이여 어느 때나 여행이 그칠까.
청산 어디라도 흰 구름 많다네.
畫欄西畔綠蘋波 無限離情日欲斜 芳草幾時行路盡 靑山何處白雲多
외로운 배는 꿈마다 큰 바다를 항해한다오.
삼월 안개 필 적이면 궁궐에는 꽃 피지.
술 단지는 금세 비고 사람도 금세 흩어진다오.
들새는 원망하는 듯도 하고 노래하는 듯도 하오.
孤舟夢裏滄溟事 三月煙中上苑花 樽酒易傾人易散 野禽如怨又如歌
16~17세기의 문장가로 명성이 높았던 간이 簡易 최립 崔岦(1539 ~1612)은 유독 백광훈을 높이 쳤다.
그는 백광훈이 최경창과는 품격이 다르므로 두 시인의 시를 묶어 한 권의 시집으로 만들면 안 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최립의 《간이집》(제9권)에는 〈옥봉과 고죽의 두 시고 詩稿를 묶어서 간행하는 것은 잘못임을 지적하는 소서 小序〉가 남아 있다. 그의 주장을 잠깐 들어보겠다.
우리 창경彰卿(백광훈)으로 말하면, 남국 南國(호남)의 아름다움이라고 일컬을 만한 선비였다. … 그는 시작詩作에 몰두하여 그 운격韻格이 당률唐律에 근접했다. 그뿐만 아니라 염담恬澹하고 온자溫藉한 기풍이 그의 인품과 같았다.
그의 시는 읽는 사람에게 경애심을 불러일으킨다고 하겠다. 그는 고아高雅한 정취를 지녀 세상의 일에는 조금도 관심을 두지 않았고 부러워하지도 않았다. 그는 오래 살았더라도 “가을벌레 소리 내며 시 읊조리다가 머리칼이 하얗게 세고 말았다[吟作秋蟲到白頭] ”라는 평을 받게 되었으리라.
나는 최립의 이러한 평이 옳다고 생각한다. 김종직이 추구한 시 세계를 완벽하게 구현한 이가 다름 아닌 백광훈이었다. 그야말로 성리학 전성시대를 대표하는 시인이었다. (...)
옥봉 백광훈의 가장 빼어난 점은 바로 오언절구에 있었다. 구한말 애국지사 매천 황현도 그 점을 명확히 지적하였다. 잠시 백광훈의 명시 〈새집에서 돌우물을 얻다[新居得石井]〉를 외워본다. 맑고 투명하기가 냉랭한 샘물 같은 글이다.
괴석에 이끼로 바느질했네.
찬 우물 돌확 아래 깊기도 하오.
맑고 밝기가 이와 같다니!
십 년 묵은 친구처럼 내 마음을 비추네.
古石苔成縫 寒泉一臼深 淸明自如許 照我十年心
한편 교산 허균은 선배 시인들을 비교한 적이 있었다. 그는 백광훈의 시를 한마디로 논하여 “무미건조할 정도로 담담하다”라고 하였다.
그럴듯한 평이었다. 고죽 최경창에 대해서는 선비의 단단한 마음을 표현했다고 말하였다. 그럼 삼당시인 중 또 한 사람이자 자신의 스승인 이달의 시는 어떻게 평하였을까.
최경창의 시에 싹이 나게 하고, 백광훈의 시에 정감이 솟게 한다고 했다(허균, 《성소부부고》). 뒤집어 말하면 최경창에게는 생동감이 없고, 백광훈에게는 감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이었다. 팔은 안으로 굽는다고, 허균이 자신의 스승 이달에게 후한 점수를 주었던 것은 아닐까.
※출처: 백승종, <<문장의 시대, 시대의 문장>>(김영사, 2020)
/백승종(역사학자, 전 서강대 사학과 교수, 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겸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