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전주공장 재하청 근로자 추락 사망, 철저한 진상 규명·책임자 처벌을...전근대적 '추락사' 지속 발생 '비통'"
민주노총 전북본부 성명 발표
추석 연휴가 시작되던 지난 3일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에서 철거 작업을 하던 50대 재하청업체 근로자가 숨진 사고와 관련해 노동단체가 철저한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특히 노동단체는 "명절을 앞두고 또 한 명의 노동자가 산업현장에서 가족의 곁을 떠났다"며 "노동자의 죽음 위에 이윤을 쌓는 사회는 정의롭지 않다. 이번 사고의 철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그리고 정부의 실질적 대책이 마련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투쟁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노총 전북본부는 5일 성명을 내고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의 도장공장에서 상부 덕트 철거 작업을 하던 50대 하청 노동자가 5.6m 높이의 개구부 아래로 떨어져 사망하는 중대재해 사망사고가 발생했다"며 "이런 전근대적인 추락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에 대해서 깊은 비통함과 분노가 끓어오른다"고 했다.
이어 "고용노동부와 경찰이 사고 원인은 조사 중이지만, 재해자가 개구부 아래로 떨어져 사망한 것과, 이 개구부가 당초에는 없던 것으로 철거업체가 임의로 새로 만든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고 주장한 민주노총은 "그렇다면 새로 개구부를 만들면서 노동자 안전장치를 전혀 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 인재임이 분명해 보인다"며 "대통령이 ‘충분히 예측되는 뻔한 추락사고는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에 가깝다’라고 외치고, 노동부장관이 명함에 ‘떨어지면 죽는다’라고 써서 다닌들 산업현장에서의 노동안전 불감증은 여전함을 이번 산재를 통해 확인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민주노총은 성명에서 "대통령과 장관의 의자가 단호함을 이번 산업재해 처리를 통해서 보다 명확하게 보여져야 할 것"이라며 "이번 산업재해와 관련해 현대차는 ‘하청업체 사고’라며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서 유족과 졸속적으로 합의 종용을 하지 말고, 원청으로서의 책임을 통감하고 철저한 진상규명에 협조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세울 것"을 요구했다.
아울러 성명은 "고용노동부는 현대자동차(원청) - 선우오토텍(설비계약 하청) - 백산테크(철거부분 재하청) - 대영기술(덕트철거 재재하청)의 복잡한 하청구조 속에서 덕트철거 부분만 작업중지권을 발동할 것이 아니라 전체 철거작업을 중지하는 작업중지권을 발동하여 전면적 안전점검을 실시할 것"을 요구한 뒤 "고용노동부는 철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통해 다시는 이런 전근대적인 추락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박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