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광, '옛 대한방직 개발' 행정 절차 진행 중에 "전주시립미술관 지어주겠다?"…시기 적절성 논란

이슈 초점

2024-11-01     박주현 기자
전주시립미술관 설계 공모 당선작.(전주시 제공)

전주시 옛 대한방직 부지에 6조원대 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자광이 전주시에 시립미술관을 지어주겠다고 제안해 시기 적정성 논란이 일고 있다. 

31일 전주시에 따르면 최근 ㈜자광이 시에 시립미술관 기부채납 의향서를 제출했다. 이에 옛 대한방직 부지 개발에 따른 공공기여의 일환이라는 점을 강조한 전주시는 관계 부서가 긍정적 방향으로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립미술관은 전주종합경기장 옛 야구장 부지에 총사업비 491억 원을 투입해 지하 1층~지상 3층, 연면적 1만 2470㎡ 규모로 지어질 예정이다. 건물 내부에는 상설 전시실을 비롯해 기획 전시실과 어린이 갤러리, 수장고, 다목적 공간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시는 각종 인허가 등 후속 절차에 속도를 내 내년 하반기 공사에 들어가 2026년 말 준공할 계획이다. 그러나 전북특별자치도와 전주시는 이달 중으로 전주종합경기장 터에 들어서는 전시컨벤션센터 건립비 분담 및 운영 등에 대한 협약을 맺을 계획을 앞두고 있다.

더욱이 11월 5일 전북특별자치도 도시계획위원회는 ‘2035년 전주시 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안’을 재심의할 예정이어서 이를 불과 1주일여 앞두고 관계 시행사인 ㈜자광이 전주시에 시립미술관을 지어주겠다고 제안해 시기가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발생할 사태에 대한 책임은 전북지사·전주시장이 분명히 져야"

전주시 옛 대한방직 부지 개발 조감도.(자광 제공)

이와 관련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오현숙(정의당ㆍ비례) 의원은 “김관영 도지사는 후보 시절 대한방직 부지개발에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약속과 우범기 전주시장 또한 한 달 반 만에 자광 대표를 집무실에 초대할 만큼 중점을 둔 사업이지만 ㈜자광이 기한이익상실이 발생하고 2개월 안에 다른 시공사를 구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했다”며 “민간기업인 (주)자광의 개발 가능성이 불확실해진 상황에도 부지 용도변경 행정절차의 진행은 특혜를 줄 수 있는 것으로 도시계획위의 안건을 다루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오 의원은 “김관영 도지사와 우범기 전주시장은 전국 어느 곳에도 진행 사례가 없는 행정절차로, 전북자치도는 주어진 권한을 제대로 행사하지 않고 있으며 전주시 또한 월권을 하며 대한방직 부지개발을 밀어붙이기식으로 진행한다면 이후 발생할 사태에 대한 책임은 두 수장이 분명히 져야 한다”며 “타 지자체인 경기도 부천시, 고양시, 성남시의 사전협상 운영지침의 경우 시·군·구에서 할 수 있는 도시관리계획 내에서만 내용을 담고 있는 점과 대조적으로 전주시는 전북특별자치도가 가진 도시기본계획 변경 권한까지 침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주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