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채·이자 눈덩이 ‘우범기호 전주시’, 5천억대 영화·영상사업 추진 '청사진' 발표…”지방선거 앞둔 치적용, 예산대책 없는 환심 사기용” 비판

이슈 초점

2024-10-31     박주현 기자

전주시가 '영화의 도시'를 표방하며 세계적인 영화·영상산업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한 10년 장기 프로젝트를 내놨지만 장기간에 걸친 5,000억원대의 막대한 재원이 소요되는 사업이어서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전주시가 도내 기초자치단체들 중 가장 많은 부채를 안고 있는 가운데 올해 역대 최대 규모의 지방채를 발행해 우려가 큰 상황에서 이러한 중장기사업 계획을 내놓은 데 대해 시민들 사이에서는 '다음 지방선거를 의식한 우범기 시장의 치적 과시용 또는 환심을 사기 위한 장밋빛 청사진'이란 따가운 비판이 나오고 있다.

우범기 시장 “5,750억원 들여 강한 영상산업 생태계 마련 등 4대 전략·10대 추진 과제 추진” 제시

우범기 전주시장은 30일 전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주는 방대한 문화콘텐츠의 원형을 지닌 도시로서 영화·영상 인프라 등 산업기반을 바탕으로 글로벌 영화 영상산업의 수도로 우뚝 서겠다”고 자신했다.(사진=전주시 제공)

30일 우범기 전주시장은 시청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자청하고 ‘전주시 2034 영화영상산업 비전’을 통해 총 5,750억원을 들여 △글로벌 영화촬영 거점 조성 △미래영화영상 기술 혁신△세계적 영화관광도시 조성 △강한 영상산업 생태계 마련 등 4대 전략·10대 추진 과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사업의 핵심은 전주의 영화영상산업 거점별 특화 구역을 연결하는 ‘펜타곤 벨트’로 이날 우 시장은 “지역 경제 파급력이 큰 영화 로케이션을 유치하기 위해 전주영화종합촬영소가 위치한 상림동에는 탄소중립 촬영단지를 조성, 지속가능한 영화 제작 환경을 만들겠다”며 “전주 북부권에는 쿠뮤필름 아시아 제2 스튜디오를 유치하고 전주영화종합촬영소가 있는 상림동, 전주영화의거리가 있는 고사동 등 5개 거점을 특화한 '영화·영상산업 펜타곤 벨트'를 구축한다”고 제시했다.

그러나 대부분 사업이 정부 공모 또는 민자유치를 필요로 하는 사업계획들이어서 향후 재원조달 현실화가 사업 성패의 관건이 될 전망이란 지적이 나왔다. 당장 전주시는 글로벌 영화촬영 거점 조성에 2,330억원, 미래영화영상 기술 혁신에 1,100억원, 세계적 영화관광도시 조성에 1,300억원, 강한 영상산업 생태계 마련에 1,020억원 등 4개 전략, 10대 추진과제를 총망라한 10개년 계획에 5,000억원이 넘는 예산이 수반되는데 대한 재원 마련 계획이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는다.

이날 우 시장이 발표한 내용에는 재원마련 대책으로 100억원 규모의 영상진흥기금 조성과 신규 문화펀드 1,000억원 투자 유치 외에 다른 방안은 구체적으로 로드맵이 제시되지 못했다.

재정자립도 '하위권', 부채 규모 도내 '최고'…재정 건정성 취약 불구 사업비 마련대책은 ‘미흡’

전주시청 전경(사진=전주시 제공)

더욱이 제시된 재원조달 마련 대책도 사업비 대부분을 정부나 기업 등 외부에서 조달하겠다는 것이어서 최근 정부가 긴축 재정을 이유로 전국 각 영화제 예산을 대폭 삭감하는 추세와 대조적인 데다 전주시 재정자립도가 21.73%로 전주시와 비슷한 규모의 자치단체와 비교하면 최저 수준이란 점에서 우려가 크다.

게다가 행정안전부의 지난해 기준 전국 광역·기초자치단체의 미래세대 빚 부담 현황에 따르면 전북 14개 시·군 부채가 8,060억원에 이른 가운데 전주시가 4,089억원으로 가장 많다. 또한 전주시가 지난해 발행한 지방채 859억원의 3개월치 이자로만 9억원을 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전주시는 올해도 역대 최대 규모로 지방채 1,225억원을 발행하면서 재정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장밋빛 청사진, 치적 과시·환심용...의구심 떨칠 수 없어”

이처럼 재정 건전성이 취약한 전주시가 사업비 매칭 없이 영화산업에 집중적인 투자 계획을 하고 나선 것은 전시 또는 탁상행정에서 비롯된 것 아니냐는 지적과 함께 다음 지방선거를 앞둔 시장의 치적 내세우기 또는 환심 사기용이란 비판이 나오고 있다.

더구나 재원도 문제지만 민선 9기 시장이 바뀌면 이 사업은 좌초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민선 8기 우범기 시장 체제가 2년여를 넘어서면서 선거캠프 출신이던 비서실장을 포함한 정무직 인사들의 대거 이동설이 흘러나오고 있는 마당에 이러한 장밋빛 청사진 발표는 선거용 아니냐는 의구심이 제기된다.

김명순(전주시 완산구 삼천동) 씨 등 일부 시민들은 “우범기 시장이 지난해부터 주기적으로 중장기 사업계획을 직접 발표하는 걸 보면 대부분 즉흥적인 뉘앙스가 짙게 풍길 뿐 아니라 예산이 터무니 없이 들어가는 사업들임에도 뚜렷한 재원마련 계획이 없는 게 공통점”이라며 “부채가 많은 시임에도 장밋빛 청사진들을 내놓은 것을 보면 다음 지방선거를 앞두고 치적 과시 또는 환심 사기용이란 의구심을 떨칠 수 없다”고 입을 모았다. 

/박주현 기자